“그러나 그는 긍휼이 충만하여 그들의 죄악을 용서하시고 그들을 멸하지 아니하셨으며 여러 번 그의 노를 돌이키시고 그의 모든 진노를 일으키지 아니하셨도다. KJV - 시편 78:38
“But he, being full of compassion, forgave their iniquity, and destroyed them not: yea, many a time turned he his anger away, and did not stir up all his wrath. KJV — Psalm 78:38
“요한은 하나님의 자비, 부드러움, 사랑이 그분의 거룩하심, 공의, 능력과 어우러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는 죄인들이 자신의 죄로 인해 두려워하던 아버지를 그분 안에서 찾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큰 분쟁의 정점 너머를 바라보시며 '승리한 자들이 ... 유리 바다 위에 서서 하나님의 수금을 들고' '모세와 어린양의 노래'를 부르는 시온을 보셨습니다. 요한계시록 15:2, 3.” AA 589.1
“구세주는 '유다 지파의 사자'와 '죽임을 당한 어린양'의 상징으로 요한 앞에 나타나십니다. 요한계시록 5:5, 6. 이 상징들은 전능한 힘과 자기 희생적인 사랑의 결합을 나타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그토록 무서운 유다의 사자가 순종하고 충실한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어린양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율법을 범하는 자에게 공포와 진노를 말하는 불기둥은 하나님의 계명을 지킨 자에게는 빛과 자비, 구원의 표징입니다. 패역한 자를 치는 강한 팔은 충성스러운 자를 구원하는 강한 팔이 될 것입니다. 충실한 사람은 누구나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그가 큰 나팔 소리와 함께 그의 천사들을 보내시리니, 그들은 하늘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사방에서 그의 택하신 자들을 모으리라.' 마태복음 24:31.” AA 589.2
“John saw the mercy, the tenderness, and the love of God blending with His holiness, justice, and power. He saw sinners finding a Father in Him of whom their sins had made them afraid. And looking beyond the culmination of the great conflict, he beheld upon Zion “them that had gotten the victory ... stand on the sea of glass, having the harps of God,” and singing “the song of Moses” and the Lamb. Revelation 15:2, 3. AA 589.1
“The Saviour is presented before John under the symbols of “the Lion of the tribe of Judah” and of “a Lamb as it had been slain.” Revelation 5:5, 6. These symbols represent the union of omnipotent power and self-sacrificing love. The Lion of Judah, so terrible to the rejectors of His grace, will be the Lamb of God to the obedient and faithful. The pillar of fire that speaks terror and wrath to the transgressor of God's law is a token of light and mercy and deliverance to those who have kept His commandments. The arm strong to smite the rebellious will be strong to deliver the loyal. Everyone who is faithful will be saved. “He shall send His angels with a great sound of a trumpet, and they shall gather together His elect from the four winds, from one end of heaven to the other.” Matthew 24:31.” AA 589.2
시편 78편을 읽으세요. 이 구절은 하나님의 백성들의 반복되는 반역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에 대해 무엇을 전달하나요?
Read Psalm 78. What does this passage convey about God’s response to His people’s repeated rebellions?
“이스라엘 자손이 가데스에서 광야로 돌아갔고 광야 체류 기간이 끝나자 '온 회중이 첫 달에 진 광야에 이르러 백성이 가데스에 거하니라'” 민수기 20:1. PP 410.1
“미리암은 여기서 죽어 장사되었다. 홍해 기슭에서 이스라엘이 노래와 춤으로 여호와의 승리를 축하하며 기뻐하던 그 장면부터 평생의 방황을 끝낸 광야 무덤에 이르기까지, 큰 희망을 품고 이집트에서 나온 수백만 명의 운명이 그러했다. 죄가 그들의 입술에서 축복의 잔을 앗아갔던 것입니다. 다음 세대는 그 교훈을 배울 수 있을까요?” PP 410.2
“'이 모든 일로 그들은 여전히 죄를 짓고 그분의 놀라운 일을 믿지 아니하였도다.... 그분이 그들을 죽이셨을 때, 그들은 그분을 찾았고, 그들은 돌아와서 일찍이 하나님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하나님이 그들의 반석이시며 그들의 구속자이신 높으신 하나님을 기억했습니다.' 시편 78:32-35. 그러나 그들은 진실한 목적을 가지고 하나님께로 향하지 않았습니다. 원수에게 고난을 당할 때 그들은 오직 구원하실 수 있는 그분께 도움을 구했지만, '그들의 마음이 그분과 맞지 않았고 그분의 언약에 확고하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긍휼이 충만하셔서 그들의 죄악을 용서하시고 그들을 멸하지 않으셨으며, 여러 번 진노를 돌이키셨나이다.... 그들이 육신에 불과하고 지나가고 다시 오지 않는 바람인 것을 기억하셨음이라'. 37-39절.” PP 410.3
“시편 78편을 주의 깊게 읽어 보세요. 이스라엘 자손은 선하신 하나님을 끊임없이 대적했습니다. 그들의 불순종으로 인해 그들은 스스로 선택한 행동의 확실한 결과인 상태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책망과 징계를 받고 회개했지만 유혹과 방종, 자기 만족에 다시 넘어졌습니다.” 13LtM, Ms 38, 1898, par. 22
“이스라엘 자손이 이집트에 들어갔을 때부터 이집트에서 구출될 때까지의 역사는 전 세계에 교훈이 됩니다. 주님께서는 그들을 종살이하던 집에서 데리고 나와 독수리 날개 위에 업고 그분께로 인도하여 그분의 감독 아래 있게 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보좌 그늘 아래 거하게 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자기들의 길을 따라 사람의 계명을 교훈으로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광야에서 그들을 이끌었던 하늘 군대의 위대한 장군이신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셨을 때, 왜곡된 경건과 율법적인 종교가 지배했습니다. 경건과 경건함이 없는 사람들은 겸손하고 소박한 모습의 생명의 왕을 분별할 수 없었습니다. 그분은 다른 사람이 하지 않았거나 할 수 없는 일을 그들 가운데서 행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분을 거부했습니다. 그들은 그분의 기적을 목격했고, 그분이 치유자이자 인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도덕적 형상을 회복시키는 분으로 다니시는 것을 보았지만, 생명의 왕을 죽였습니다.” 13LtMs, Ms 38, 1898, par. 23
“From Kadesh the children of Israel had turned back into the wilderness; and the period of their desert sojourn being ended, they came, “even the whole congregation, into the desert of Zin in the first month: and the people abode in Kadesh.” Numbers 20:1. PP 410.1
“Here Miriam died and was buried. From that scene of rejoicing on the shores of the Red Sea, when Israel went forth with song and dance to celebrate Jehovah's triumph, to the wilderness grave which ended a lifelong wandering—such had been the fate of millions who with high hopes had come forth from Egypt. Sin had dashed from their lips the cup of blessing. Would the next generation learn the lesson? PP 410.2
“‘For all this they sinned still, and believed not for His wondrous works.... When He slew them, then they sought Him: and they returned and inquired early after God. And they remembered that God was their Rock, and the high God their Redeemer.’ Psalm 78:32-35. Yet they did not turn to God with a sincere purpose. Though when afflicted by their enemies they sought help from Him who alone could deliver, yet ‘their heart was not right with Him , neither were they steadfast in His covenant. But He, being full of compassion, forgave their iniquity, and destroyed them not: yea, many a time turned He His anger away.... For He remembered that they were but flesh; a wind that passeth away, and cometh not again.’ Verses 37-39.” PP 410.3
“Please read the seventy-eighth Psalm carefully. The children of Israel worked constantly against a good God. Through their disobedience, they were brought into the state that was the sure result of their own course of action. They repented under rebuke and chastisement, but fell again under temptation, self-indulgence, and self-gratification. 13LtMs, Ms 38, 1898, par. 22
“The history of the children of Israel, from their entrance into Egypt until their deliverance from Egypt, is an object lesson to the world. The Lord took them out of the house of bondage, and bore them as upon eagle’s wings, and brought them unto Himself, that they should be under His supervision, and dwell under the shadow of the throne of the Most High. But they followed their own way, teaching for doctrine the commandments of men. And when Jesus, the great General of the heavenly army, who had led them through the wilderness, came to this earth, perverted piety and legal religion held sway. Without piety or godliness, the people could not discern the Prince of life in His humble, unpretentious appearance. Notwithstanding that He did among them works that no other man had done or could do, they refused Him. They witnessed His miracles; they saw Him going about as a Healer, a Restorer of the moral image of God in man; yet they killed the Prince of life.” 13LtMs, Ms 38, 1898, par. 23
요나서 4장 1-4절에 나오는 요나 이야기를 생각해 보고, 니느웨 사람들을 긍휼히 여기신 하나님의 용서에 대한 요나의 반응을 묵상해 보세요. 이것은 요나와 하나님에 대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가? (마 10:8 참조).
Consider the story of Jonah and reflect on Jonah’s reaction to God’s compassionate forgiveness of the Ninevites, in Jonah 4:1–4. What does this tell us about Jonah, and about God? (See also Matt. 10:8.)
“니느웨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고 금식을 선포하고 가장 큰 자로부터 가장 작은 자에 이르기까지 굵은 베옷을 입었습니다. 소문이 니느웨 왕에게 이르러 왕이 왕좌에서 일어나 그의 겉옷을 벗고 굵은 베로 덮고 재 속에 앉았더라. 그가 왕과 귀족들의 조서로 니느웨에 선포하고 공표하여 이르되 사람이나 짐승이나 소나 양떼나 아무것도 맛보지 말며 먹지도 말고 물도 마시지 말고 오직 사람과 짐승이 굵은 베옷을 입고 하나님께 힘써 부르짖어 모든 사람을 그 악한 길과 그 손에 있는 폭력에서 돌이키게 하라 하라 하셨더라. 하나님이 돌이켜 회개하고 그 맹렬한 진노에서 돌이켜 우리를 멸망하지 않게 하실지 누가 알 수 있으리요?” 5-9절. PK 270.3
“왕과 귀족, 일반 백성,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이 '요나스의 설교를 듣고 회개'(마태복음 12:41)하고 하늘의 하나님께 부르짖으며 하나가 되었을 때 하나님의 자비가 그들에게 임했습니다. '그들의 행위를 보시고 그들이 악한 길에서 돌이키니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행하시리라 말씀하신 그 악을 회개하시고 행하지 아니하셨더라'(요나 3:10). 요나 3:10. 그들의 운명은 피했고,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이방 세계 전체에서 높임과 존귀를 받으셨으며, 그분의 율법은 존경을 받았습니다. 수년이 지난 후에야 니느웨는 하나님을 망각하고 교만한 교만으로 인해 주변 국가들의 먹이가 되었습니다. [앗수르의 몰락에 관한 이야기는 30장을 참조하세요.” PK 270.4
“요나는 그 악함에도 불구하고 베옷과 재를 입고 회개하도록 이끄신 하나님의 목적을 알게 되었을 때,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로 인해 가장 먼저 기뻐해야 했지만, 그 대신 자신이 거짓 선지자로 여겨질 가능성에만 마음을 빼앗겼습니다. 자신의 명성에 질투를 느낀 그는 그 비참한 도시에 있는 영혼들의 무한히 더 큰 가치를 보지 못했습니다. 회개하는 니느웨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긍휼하심은 '요나를 심히 불쾌하게 하셨고 그가 크게 노하셨다.' '내가 아직 고국에 있을 때 주님께 물었더니, 내가 이렇게 말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므로 내가 전에 다메섹으로 도망하였나이다 주께서는 은혜로우신 하나님이시요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자하심이 크신 줄 알고 주께 악을 회개하였나이다'. 요나 4:1, 2.” PK 271.1
“‘The people of Nineveh believed God, and proclaimed a fast, and put on sackcloth, from the greatest of them even to the least of them. For word came unto the king of Nineveh, and he arose from his throne, and he laid his robe from him, and covered him with sackcloth, and sat in ashes. And he causeth it to be proclaimed and published through Nineveh by the decree of the king and his nobles, saying, Let neither man nor beast, herd nor flock, taste anything: let them not feed, nor drink water: but let man and beast be covered with sackcloth, and cry mightily unto God: yea, let them turn everyone from his evil way, and from the violence that is in their hands. Who can tell if God will turn and repent, and turn away from His fierce anger, that we perish not?’ Verses 5-9. PK 270.3
“As king and nobles, with the common people, the high and the low, “repented at the preaching of Jonas” (Matthew 12:41) and united in crying to the God of heaven, His mercy was granted them. He “saw their works, that they turned from their evil way; and God repented of the evil, that He had said that He would do unto them; and He did it not.” Jonah 3:10. Their doom was averted, the God of Israel was exalted and honored throughout the heathen world, and His law was revered. Not until many years later was Nineveh to fall a prey to the surrounding nations through forgetfulness of God and through boastful pride. [For an account of the downfall of Assyria, see chapter 30.] PK 270.4
“When Jonah learned of God's purpose to spare the city that, notwithstanding its wickedness, had been led to repent in sackcloth and ashes, he should have been the first to rejoice because of God's amazing grace; but instead he allowed his mind to dwell upon the possibility of his being regarded as a false prophet. Jealous of his reputation, he lost sight of the infinitely greater value of the souls in that wretched city. The compassion shown by God toward the repentant Ninevites “displeased Jonah exceedingly, and he was very angry.” “Was not this my saying,” he inquired of the Lord, “when I was yet in my country? Therefore I fled before unto Tarshish: for I knew that Thou art a gracious God, and merciful, slow to anger, and of great kindness, and repentest Thee of the evil.” Jonah 4:1, 2.” PK 271.1
마태복음 21:12, 13과 요한복음 2:14, 15를 읽으세요. 성전이 사용되는 방식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은 악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에 대해 무엇을 말해 주나요?
Read Matthew 21:12, 13 and John 2:14, 15. What does Jesus’ reaction to the way the temple was being used tell us about God’s getting angry at evil?
“예수께서 성전을 처음 정결케 하실 때 하신 말씀이 이것이며, 십자가에 달리시기 직전인 두 번째 성전 정결케 하실 때에도 '기록되었으되 내 집은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하였거늘 너희는 강도의 소굴로 만들었느니라' 하셨느니라. 이것은 매우 단호한 정죄의 말씀이었습니다. 성전 뜰에 들어오신 그리스도의 분노는 왜 그렇게 격앙되어 있었을까요? 그의 눈은 그 현장을 훑어보았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불명예와 백성들의 억압을 보았습니다. 그는 소의 울음소리와 양들의 울음소리, 매매하는 사람들 사이의 다툼 소리를 들었습니다. 하나님의 법정에서는 제사장들과 통치자들조차도 교통 체증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그리스도의 시선이 그 장면을 훑고 지나가자 그분의 모습이 군중의 관심을 끌었고, 갑자기 모든 목소리가 잠잠해지고 모든 시선이 그리스도에게 고정되었습니다. 일단 그들의 시선이 그에게로 향하자, 그들은 그의 얼굴에서 눈을 뗄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얼굴에는 그들을 경외하고 두렵게 하는 무언가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누구였습니까? - 아버지와 함께 목수 일을 하던 겸손한 갈릴리 사람, 목수의 아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를 바라보면서 마치 심판대 앞에 서 있는 것처럼 느꼈습니다.” RH 1895년 8월 27일, 파. 2
“상품 판매 장소로 변해버린 성전 뜰을 바라보면서 그가 본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그들은 하나님께 죄를 사하기 위해 희생 제물로 바치려는 사람들에게 소와 양과 비둘기를 팔고 있었습니다. 무리 중에는 가난한 사람들이 많았고, 그들은 죄를 용서받기 위해서는 하나님께 바칠 제물과 희생물이 있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가난하고 괴로워하며 고통받는 사람들이 비둘기 한 마리도 제물로 살 돈이 없어 곤경에 처해 있는 것을 보셨습니다. 눈먼 자, 앉은뱅이, 귀머거리, 고통 받는 자들은 자신의 죄를 위해 제물을 드리고 싶었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서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통과 괴로움에 처해 있었습니다. 그들이 죄를 용서받을 기회는 없어 보였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죄인이라는 것을 알았고 제물이 필요했지만 어떻게 제물을 구할 수 있었을까요?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안목은 미래뿐만 아니라 시대와 세기를 내다보았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몰락과 세상의 멸망을 보았습니다. 제사장과 통치자,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을 외면하고 심지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금지하는지도 보셨습니다. 성전 뜰에는 제사장들이 성전 의복을 입고 하나님의 제사장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그리스도의 옷은 여행의 때가 묻어 있었습니다. 그분은 젊은 갈릴리 사람처럼 생겼지만, 작은 채찍을 들고 성전 계단에 서서 '그러므로 이것들을 가져가라'고 말씀하시며 돈 바꾸는 사람들의 상을 엎으시고 양과 소를 쫓아내실 때 그분의 권위에 저항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마치 마법에 걸린 듯 그를 바라보았는데, 신성이 인간을 통해 번쩍였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얼굴에서 그러한 위엄과 권위가 빛났고, 그들은 그가 하늘의 권능을 입었다고 확신했습니다. 그들은 선지자들을 존경하도록 배웠고,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권능은 아직 마음을 닫지 않은 많은 사람들에게 그가 하느님께서 보내신 분이라는 확신을 심어주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는 메시아다'라고 말했고, 그가 자신을 드러낸 사람들은 참으로 그가 하느님이 보내신 선생이라는 것을 확신했습니다 양심의 소리를 억누르고 재물을 원하고 어떤 방법으로 얻든 그것을 갖기로 결심 한 사람들은 그를 향한 마음의 문을 닫았습니다. 로마 화폐를 성전에서 사용할 돈으로 바꾸기 위해 그곳에 있던 환전상들은 그의 행동에 불쾌감을 느꼈습니다. 그들은 백성들의 물건을 강탈하고 하나님의 집을 도둑의 소굴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사람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복수의 사자를 보았고, 마치 무장한 군대가 쫓아오는 것처럼 성전에서 도망쳤습니다. 제사장들과 통치자들도 당황하여 도망쳤고, 물건을 팔던 인신매매업자들도 도망쳤습니다. 도망치던 중 성전으로 가는 길에 다른 사람들을 만났지만 그들은 그들에게 돌아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권위를 가진 사람이 소와 양을 쫓아내고 성전에서 쫓아냈다고 말했습니다.” RH 1895년 8월 27일, 파. 3
“그리스도께서 비둘기를 판 사람들을 쫓아내실 때 '너희는 이것들을 가져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소와 양처럼 비둘기를 쫓아내지 않으셨는데, 그 이유는 비둘기가 가난한 사람들의 유일한 제물이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필요를 알고 계셨고, 판매자들이 성전에서 쫓겨나자 고통받는 사람들과 가난한 사람들은 궁정에 남겨졌습니다. 그들의 유일한 희망은 성전에 와서 밭과 농작물, 자녀와 가정에 복을 내려달라고 하나님께 간청하며 제물을 바치는 것이었습니다. 제사장들과 통치자들은 백성들 틈에서 겁에 질려 도망쳤으나, 겁에서 회복한 후에 '우리가 왜 저 한 사람 앞에서 도망쳤을까?"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그가 누구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그가 아버지의 대리자라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그분이 자신의 신성을 인성으로 입으셨다는 사실도 몰랐지만, 그분의 신성한 권능을 의식하고 있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가장 부드러운 동정의 마음으로 도망치는 무리를 돌보셨습니다. 그의 마음은 성전 예배가 오염되어 자신의 인격과 사명을 잘못 표현한 것에 대한 슬픔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그는 불쌍히 여기는 사랑으로 그들을 그들의 잘못에서 구원하기를 갈망했습니다. 그는 민중의 수호자라고 자처하면서 민중을 억압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그들의 권리로부터 외면했던 사제들과 통치자들을 구원하기를 갈망했습니다. 그러나 제사장들과 통치자들은 당황한 나머지 '우리가 돌아가서 그에게 도전하여 그가 무슨 권한으로 우리를 성전에서 추방했는지 물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RH 1895년 8월 27일, 파. 4
“These were the words he spoke at the first cleansing of the temple; and at the second cleansing of the temple, just prior to his crucifixion, he said unto them, “It is written, My house shall be called the house of prayer; but ye have made it a den of thieves.” That was a very decided statement of condemnation. Why was it that Christ's indignation was stirred as he came into the temple courts? His eye swept over the scene, and he saw in it the dishonor of God and the oppression of the people. He heard the lowing of the oxen, the bleating of the sheep, and the altercation between those who were buying and selling. In the courts of God even the priests and rulers were engaged in traffic. As Christ's eye swept over that scene, his appearance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multitude, and suddenly every voice was hushed, and every eye was fastened upon Christ. When once their attention was called to him, they could not withdraw their eyes from his face, for there was something in his countenance that awed and terrified them. Who was he? — A humble Galilean, the son of a carpenter who had worked at his trade with his father; but as they gazed upon him, they felt as though they were arraigned before the judgment bar. RH August 27, 1895, par. 2
“What was it that he saw as he looked upon that temple court converted into a place of merchandise? They were selling oxen and sheep and doves to those who would offer a sacrifice to God for their sins. There were many poor among the multitude, and they had been taught that in order to have their sins forgiven, they must have an offering and a sacrifice to present to God. Christ saw the poor and the distressed and the afflicted in trouble and dismay because they had not sufficient to purchase even a dove for an offering. The blind, the lame, the deaf, the afflicted, were in suffering and distress because they longed to present an offering for their sins, but the prices were so exorbitant they could not compass it. It seemed that there was no chance for them to have their sins pardoned. They knew that they were sinners, and needed an offering, but how could they obtain it? Christ's prophetic eye took in the future, took in not only the years, but the ages and the centuries. He saw the downfall of Jerusalem and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He saw how priests and rulers and men in high position would turn away the needy from their right, and even forbid that the gospel should be preached to the poor. In the temple courts were the priests clad in their temple garments for display, and to mark out their position as priests of God. The garments of Christ were travel-stained. He had the appearance of a youthful Galilean, and yet as he took up the scourge of small cords, and stood on the steps of the temple, none could resist the authority with which he spoke, as he said, “Take these things hence,” and overthrew the tables of the money-changers, and drove out the sheep and the oxen. The people looked upon him as though spellbound; for divinity flashed through humanity. Such dignity, such authority, shone forth in the countenance of Christ, that they were convicted that he was clothed with the power of heaven. They had been taught to have great respect for the prophets, and the power displayed by Christ convinced many who had not closed their hearts against conviction, that he was one sent of God. Some said, “He is the Messiah,” and those to whom he revealed himself were indeed convicted that he was the teacher sent of God; but those who stifled the voice of conscience, who desired riches, and were determined to have them, no matter in what way they were to be obtained, closed the door of the heart against him. The money-changers who were there for the purpose of changing the Roman money for the money that was to be used in the temple, were displeased at his action. Their merchandise was robbery of the people, and they had made the house of God a den of thieves. These men beheld in Christ a messenger of vengeance, and fled from the temple as though a band of armed soldiers were on their track. The priests and the rulers also fled in dismay, and the traffickers in merchandise. As they fled, they met others on their way to the temple, but they told them to go back. They said that a man having authority had driven out the oxen and the sheep, and had expelled them from the temple. RH August 27, 1895, par. 3
“When Christ had expelled those who had sold doves, he had said, “Take these things hence.” He had not driven the doves out as he had the oxen and the sheep, and why?—Because they were the only offering of the poor. He knew their necessities, and as the sellers were driven from the temple, the suffering and the afflicted were left in the courts. Their only hope had been to come to the temple where they might present their offering with a petition to God that they might be blessed in their fields, in their crops, in their children, and in their homes. The priests and the rulers had fled terrified and awed from the midst of the people; but after they had recovered from their fright, they said, “Why did we go from the presence of that one man?” They did not know who he was. They did not know that he was a representative of the Father. They did not know that he had clothed his divinity with humanity; and yet they had a consciousness of his divine power. Christ had looked after the fleeing multitude with a heart of the tenderest pity. His heart was filled with grief that the temple service had been polluted, and had misrepresented his character and mission. In his pitying love he longed to save them from their errors. He longed to save the priests and the rulers, who, while claiming to be guardians of the people, had oppressed them, and turned aside the needy from their right. But the priests and the rulers, recovering from their dismay, said, ‘We will return, and challenge him, and ask him by what authority he has presumed to expel us from the temple.’” RH August 27, 1895, par. 4
에스라 5:12을 읽고 예레미야 51:24, 25, 44과 비교하세요. 이것은 바벨론 사람들을 통해 예루살렘에 임한 심판에 대해 무엇을 설명하나요? (역대하 36:16도 참조하세요.)
Read Ezra 5:12 and compare it with Jeremiah 51:24, 25, 44. What does this explain about the judgment that came upon Jerusalem via the Babylonians? (See also 2 Chron. 36:16.)
“세상의 영적 빛이 될 수 있었던 사람들이 완전히 타락한 것에 대한 선지자의 슬픔, 시온과 바벨론으로 포로로 끌려간 백성들의 운명에 대한 슬픔은 그가 여호와의 권고에서 인간의 지혜로 돌아선 어리석음을 기념하기 위해 기록에 남긴 애가에 드러나 있습니다. 예레미야는 파멸 속에서도 '우리가 멸망하지 않은 것은 여호와의 자비'라고 선언할 수 있었고, '우리가 우리의 길을 찾고 시험하여 다시 여호와께로 돌아오자'는 기도를 끊임없이 드렸습니다. 애가 3:22, 40. 유다가 아직 열국 가운데 왕국이었을 때 그는 하나님께 '주께서 유다를 완전히 버리셨나이까 주의 영혼이 시온을 미워하셨나이까'라고 물었고, '주의 이름을 위하여 우리를 멸시하지 마소서'라고 담대하게 간구했습니다. 예레미야 14:19, 21. 혼란에서 질서를 가져오고, 땅의 나라들과 온 우주에 그분의 공의와 사랑의 속성을 보여 주려는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에 대한 선지자의 절대적인 믿음은 이제 악에서 의로 돌이킬 사람들을 위해 자신 있게 간청할 수 있도록 이끌었습니다.” PK 461.1
“그러나 이제 시온은 완전히 파괴되었고 하나님의 백성은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슬픔에 압도된 선지자는 이렇게 외쳤습니다. '사람들로 가득했던 성읍이 어찌하여 홀로 앉았느냐, 과부처럼 되었느냐, 열국 중에 위대하고 지방 중에 공주였던 그녀가 어찌하여 속국이 되었느냐! 밤에 슬피 울며 눈물이 뺨에 맺혔도다 그의 모든 연인 중에 그를 위로할 자가 없고 그의 모든 친구들이 그를 배반하여 원수가 되었도다'.” PK 461.2
“히브리 선지자들은 바빌론이 어떻게 멸망할 것인지에 관해 분명히 말했었다. 하나님께서 환상으로 장차 일어날 일들을 그들에게 계시하셨던 것처럼, 그들은 '세샤크가 어찌 취하였는가! 온 땅의 찬양이 어찌 놀랐으며, 바빌론이 어찌 열국 가운데 놀라움이 되었나!' '온 땅의 망치가 어찌 쪼개지고 부서졌으며, 바빌론이 어찌 열국 가운데 황폐가 되었나!' '바빌론이 취하는 소리로 땅이 움직이며 열국 가운데 외치는 소리가 들린다' 고 외쳤습니다."라고 했습니다. PK 531.4
“'바벨론이 갑자기 함락되어 멸망하리라'. '그녀 곧 바벨론에게 망하는 자가 임하며 그녀의 용사들이 사로잡히고 그들의 활이 다 부러지리니 이는 보응의 주 하나님이 반드시 갚으실 것임이니라. 내가 그 방백들과 지혜 있는 자들과 대장들과 통치자들과 용사들을 취하게 하리니 그들이 영원한 잠을 자고 깨어나지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 왕의 말이니라.” PK 532.1
“그리하여 '바빌론의 넓은 성벽'이 '완전히 부서지고 그 높은 성문들이 ... 불에 타 버렸다'. 만군의 여호와께서는 이렇게 '교만한 자의 오만함을 멈추게 하시고' '끔찍한 자의 거만함을 낮추셨다'. 그리하여 '왕국의 영광, 갈대아 사람들의 아름다움인 바빌론'은 소돔과 고모라처럼 영원히 저주받은 곳이 되었습니다. 영감은 '대대로 사람이 살지 못할 것이며, 아라비아 사람들도 그곳에 장막을 치지 못할 것이며, 목자들도 그곳에 양떼를 치지 못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사막의 들짐승이 거기 누우며 그 집에는 먹음직스러운 짐승이 가득하며 부엉이가 거기 거하며 사티가 거기서 춤추리라. 그리고 섬의 들짐승은 황량한 집에서 울고 용은 쾌적한 궁전에서 울리라'. '내가 또한 그것을 쓴 자들의 소유가 되게 하고 물 웅덩이가 되게 하리니 내가 멸망의 비솜으로 쓸어버리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예레미야 51:58; 이사야 13:11, 19-22; 14:23.” PK 532.4
“The sorrow of the prophet over the utter perversity of those who would have been the spiritual light of the world, his sorrow over the fate of Zion and of the people carried captive to Babylon, is revealed in the lamentations he has left on record as a memorial of the folly of turning from the counsels of Jehovah to human wisdom. Amid the ruin wrought, Jeremiah could still declare, “It is of the Lord's mercies that we are not consumed;” and his constant prayer was, “Let us search and try our ways, and turn again to the Lord.” Lamentations 3:22, 40. While Judah was still a kingdom among the nations, he had inquired of his God, “Hast Thou utterly rejected Judah? hath Thy soul loathed Zion?” and he had made bold to plead, “Do not abhor us, for Thy name's sake.” Jeremiah 14:19, 21. The prophet's absolute faith in God's eternal purpose to bring order out of confusion, and to demonstrate to the nations of earth and to the entire universe His attributes of justice and love, now led him to plead confidently in behalf of those who might turn from evil to righteousness. PK 461.1
“But now Zion was utterly destroyed; the people of God were in their captivity. Overwhelmed with grief, the prophet exclaimed: “How doth the city sit solitary, that was full of people! how is she become as a widow! she that was great among the nations, and princess among the provinces, how is she become tributary! She weepeth sore in the night, and her tears are on her cheeks: among all her lovers she hath none to comfort her: all her friends have dealt treacherously with her, they are become her enemies.” PK 461.2
“Clearly had the Hebrew prophets spoken concerning the manner in which Babylon should fall. As in vision God had revealed to them the events of the future, they had exclaimed: “How is Sheshach taken! and how is the praise of the whole earth surprised! how is Babylon become an astonishment among the nations!” “How is the hammer of the whole earth cut asunder and broken! how is Babylon become a desolation among the nations!” “At the noise of the taking of Babylon the earth is moved, and the cry is heard among the nations.” PK 531.4
“‘Babylon is suddenly fallen and destroyed.’ ‘The spoiler is come upon her, even upon Babylon, and her mighty men are taken, every one of their bows is broken: for the Lord God of recompenses shall surely requite. And I will make drunk her princes, and her wise men, her captains, and her rulers, and her mighty men: and they shall sleep a perpetual sleep, and not wake, saith the King, whose name is the Lord of hosts.’” PK 532.1
“Thus “the broad walls of Babylon” became “utterly broken, and her high gates ... burned with fire.” Thus did Jehovah of hosts “cause the arrogancy of the proud to cease,” and lay low “the haughtiness of the terrible.” Thus did “Babylon, the glory of kingdoms, the beauty of the Chaldees’ excellency,” become as Sodom and Gomorrah—a place forever accursed. “It shall never be inhabited,” Inspiration has declared, “neither shall it be dwelt i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either shall the Arabian pitch tent there; neither shall the shepherds make their fold there. But wild beasts of the desert shall lie there; and their houses shall be full of doleful creatures; and owls shall dwell there, and satyrs shall dance there. And the wild beasts of the islands shall cry in their desolate houses, and dragons in their pleasant palaces.” “I will also make it a possession for the bittern, and pools of water: and I will sweep it with the besom of destruction, saith the Lord of hosts.” Jeremiah 51:58; Isaiah 13:11, 19-22; 14:23.” PK 532.4
어떤 사람들은 신의 분노가 의도치 않게 인간의 복수에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신명기 32:35, 잠언 20:22, 잠언 24:29, 로마서 12:17-21, 히브리서 10:30을 읽어보세요. 이 본문들은 인간의 복수를 어떻게 경계하고 있나요?
Some worry that divine anger might unintentionally be taken as giving license to human vengeance. Read Deuteronomy 32:35, Proverbs 20:22, Proverbs 24:29, Romans 12:17–21, and Hebrews 10:30. How do these texts guard against human vengeance?
유대인들이 로마 군대와의 접촉으로 인해 짜증을 내는 일이 끊임없이 발생했습니다. 유대 전역과 갈릴리 곳곳에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고, 그들의 존재는 백성들에게 민족으로서의 타락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 그들은 비통한 마음으로 나팔소리를 들었고 로마의 표준을 중심으로 군대가 형성되어 로마의 힘의 상징 인이 상징에 경의를 표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민중과 군인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이는 대중의 증오심에 불을 지폈습니다. 종종 로마 관리가 병사들을 거느리고 이곳저곳을 돌면서 밭에서 일하고 있는 유대인 농민들을 붙잡아 산비탈로 짐을 나르거나 필요한 다른 노역을 강요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로마의 법과 관습에 따른 것이었고, 그러한 요구에 저항하면 조롱과 잔인함만 불러일으켰습니다.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로마의 멍에를 벗어던지고 싶은 갈망이 날마다 깊어졌습니다. 특히 대담하고 거친 갈릴리 사람들 사이에서는 반란의 기운이 만연했습니다. 국경 도시인 가버나움은 로마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고, 예수님께서 가르치시는 동안에도 군인 중대의 모습은 청중들에게 이스라엘의 굴욕에 대한 쓰라린 생각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사람들은 그리스도가 로마의 교만을 낮추실 분이시기를 바라며 간절히 바라보았습니다.” MB 69.2
“예수님은 슬픔에 잠긴 얼굴들을 바라보십니다. 그분은 그들에게 악의 각인이 찍힌 복수의 영을 보시고, 사람들이 억압자들을 짓밟을 힘을 얼마나 간절히 갈망하는지 아십니다. '악한 자를 대적하지 말고 오직 네 오른뺨을 치는 자를 왼뺨도 돌려대라'고 애통하게 말씀하십니다.” MB 70.1
“이 말씀은 구약의 가르침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합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레위기 24:20)라는 규칙이 모세를 통해 주어진 율법의 조항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민사법규였습니다. '내가 악을 갚으리라 말하지 말라'는 주님의 말씀이 있었기 때문에 누구도 정당하게 복수를 할 수 없었습니다. '말하지 말라, 그가 내게 한 것 같이 나도 그에게 갚으리라'고 하셨습니다. '네 원수가 쓰러졌을 때 기뻐하지 말라'. '너를 미워하는 자에게 주리거든 먹을 것을 주며 목마르거든 마시게 하라.' 잠언 20:22; 24:29, 17; 잠언 25:21, 22 , R.V., 여백. MB 70.2
“예수님의 지상 생애 전체가 이 원칙의 표현이었습니다. 우리 구주께서 하늘에 계신 집을 떠나신 것은 원수들에게 생명의 떡을 주시기 위해서였습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비방과 박해가 그분께 쏟아졌지만, 그들은 그분에게서 오직 용서하는 사랑의 표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분은 선지자 이사야를 통해 '채찍질하는 자에게 내 등을 내어 주었고, 머리카락을 뽑는 자에게 내 뺨을 내어 주었다'고 말씀하십니다: 나는 부끄러움과 침 뱉음에서 내 얼굴을 숨기지 않았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는 억압을 당하고 고난을 당했지만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그는 도살장에 끌려가는 어린 양 같으며 털 깎는 자 앞에 벙어리 된 양 같아서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이사야 50:6; 53:7. 그리고 갈보리 십자가에서 살인자들을 위한 그분의 기도와 죽어가는 도둑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시대를 초월하여 내려오고 있습니다.” MB 71.1
“Occasions of irritation to the Jews were constantly arising from their contact with the Roman soldiery. Detachments of troops were stationed at different points throughout Judea and Galilee, and their presence reminded the people of their own degradation as a nation. With bitterness of soul they heard the loud blast of the trumpet and saw the troops forming around the standard of Rome and bowing in homage to this symbol of her power. Collisions between the people and the soldiers were frequent, and these inflamed the popular hatred. Often as some Roman official with his guard of soldiers hastened from point to point, he would seize upon the Jewish peasants who were laboring in the field and compel them to carry burdens up the mountainside or render any other service that might be needed. This was in accordance with the Roman law and custom, and resistance to such demands only called forth taunts and cruelty. Every day deepened in the hearts of the people the longing to cast off the Roman yoke. Especially among the bold, rough-handed Galileans the spirit of insurrection was rife. Capernaum, being a border town, was the seat of a Roman garrison, and even while Jesus was teaching, the sight of a company of soldiers recalled to His hearers the bitter thought of Israel's humiliation. The people looked eagerly to Christ, hoping that He was the One who was to humble the pride of Rome. MB 69.2
“With sadness Jesus looks into the upturned faces before Him. He notes the spirit of revenge that has stamped its evil imprint upon them, and knows how bitterly the people long for power to crush their oppressors. Mournfully He bids them, “Resist not him that is evil: but whosoever smiteth thee on thy right cheek, turn to him the other also.” MB 70.1
“These words were but a reiteration of the teaching of the Old Testament. It is true that the rule, “Eye for eye, tooth for tooth” (Leviticus 24:20), was a provision in the laws given through Moses; but it was a civil statute. None were justified in avenging themselves, for they had the words of the Lord: “Say not thou, I will recompense evil.” “Say not, I will do so to him as he hath done to me.” “Rejoice not when thine enemy falleth.” “If he that hateth thee be hungry, give him bread to eat; and if he be thirsty, give him water to drink.” Proverbs 20:22; 24:29, 17; Proverbs 25:21, 22 , R.V., margin. MB 70.2
“The whole earthly life of Jesus was a manifestation of this principle. It was to bring the bread of life to His enemies that our Saviour left His home in heaven. Though calumny and persecution were heaped upon Him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they called forth from Him only the expression of forgiving love. Through the prophet Isaiah He says, “I gave My back to the smiters, and My cheeks to them that plucked off the hair: I hid not My face from shame and spitting.” “He was oppressed, and He was afflicted, yet He opened not His mouth: He is brought as a lamb to the slaughter, and as a sheep before her shearers is dumb, so He openeth not His mouth.” Isaiah 50:6; 53:7. And from the cross of Calvary there come down through the ages His prayer for His murderers and the message of hope to the dying thief.” MB 71.1
“누구든지 너와 함께 법원에 가서 네 겉옷[튜닉]을 빼앗으려거든 네 망토[망토]도 가지게 하라. 그리고 누구든지 너를 감동시켜서 1마일을 가자고 하는 자는 그와 함께 2마일을 가라.” R.V., 여백. MB 71.3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권위 있는 사람들의 요구에 저항하지 말고 그들에게 요구되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가능한 한 그 땅의 율법이 요구하는 것 이상으로 모든 의무를 이행해야 했습니다. 모세를 통해 주어진 율법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매우 부드러운 배려를 주문했습니다. 가난한 사람이 자신의 옷을 담보로 주거나 빚을 갚기 위해 담보로 제공하면 채권자는 그 집에 들어가서 옷을 가져갈 수 없었고, 길거리에서 담보물을 가져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습니다. 그리고 어떤 상황이든 담보물은 해질녘에 주인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신명기 24:10~13. 그리스도 시대에는 이러한 자비로운 규정이 거의 고려되지 않았지만,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모세의 율법이 승인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하더라도 법정의 결정에 복종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비록 의복의 일부를 요구할지라도 그들은 양보해야 했습니다. 이보다 더 나아가, 그들은 법원이 압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포기하고 필요한 경우 채권자에게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주어야 했습니다. '누구든지 너와 함께 법정에 가서 네 외투를 빼앗으려거든 네 망토도 그에게 주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배달부가 1마일을 함께 가자고 하면 2마일을 가라.” MB 72.1
“예수께서는 '네게 구하는 자에게 주라 그리하면 네게 꾸고자 하는 자도 거절하지 아니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모세를 통해서도 같은 교훈을 가르치셨습니다: '너는 네 마음을 완악하게 하지 말며 네 가난한 형제에게서 네 손을 닫지 말고 네 손을 그에게 활짝 열고 그가 필요로 하는 것으로 그에게 넉넉히 꾸어 주라'. 신명기 15:7, 8. 이 성구는 구주께서 하신 말씀의 의미를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선을 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무차별적으로 주라고 가르치지 않으시고, '너는 반드시 그에게 그 쓸 것을 넉넉히 주라'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선물하는 것이니, 우리는 다시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빌려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MB 72.2
“‘If any man would go to law with thee, and take away thy coat [tunic], let him have thy cloak [mantle] also. And whosoever shall impress thee to go one mile, go with him twain.’ R.V., margin. MB 71.3
“Jesus bade His disciples, instead of resisting the demands of those in authority, to do even more than was required of them. And, so far as possible, they should discharge every obligation, even if it were beyond what the law of the land required. The law, as given through Moses, enjoined a very tender regard for the poor. When a poor man gave his garment as a pledge, or as security for a debt, the creditor was not permitted to enter the dwelling to obtain it; he must wait in the street for the pledge to be brought to him. And whatever the circumstances the pledge must be returned to its owner at nightfall. Deuteronomy 24:10-13. In the days of Christ these merciful provisions were little regarded; but Jesus taught His disciples to submit to the decision of the court, even though this should demand more than the law of Moses authorized. Though it should demand a part of their raiment, they were to yield. More than this, they were to give to the creditor his due, if necessary surrendering even more than the court gave him authority to seize. “If any man would go to law with thee,” He said, “and take away thy coat, let him have thy cloak also.” R.V. And if the couriers require you to go a mile with them, go two miles. MB 72.1
“Jesus added, “Give to him that asketh thee, and from him that would borrow of thee turn not thou away.” The same lesson had been taught through Moses: “Thou shalt not harden thine heart, nor shut thine hand from thy poor brother: but thou shalt open thine hand wide unto him, and shalt surely lend him sufficient for his need, in that which he wanteth.” Deuteronomy 15:7, 8. This scripture makes plain the meaning of the Saviour's words. Christ does not teach us to give indiscriminately to all who ask for charity; but He says, “Thou shalt surely lend him sufficient for his need;” and this is to be a gift, rather than a loan; for we are to ‘lend, hoping for nothing again.’” MB 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