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이 당신을 위해 싸우십니다

第5课,第四季度,2025年10月25日-10月31日

img rest_in_christ
이 레슨 공유하기
sharethis sharing button
copy sharing button
email sharing button
whatsapp sharing button
facebook sharing button
twitter sharing button
telegram sharing button
messenger sharing button
line sharing button
wechat sharing button
vk sharing button
tencentqq sharing button
weibo sharing button
kakao sharing button
Download PDF

안식일 오후 10월 25일

기억할 말씀:

“여호수아가 이 모든 왕들과 그들의 땅을 한 번에 정복하였으니 이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싸우셨음이라.” KJV — 여호수아 10:42

“And all these kings and their land did Joshua take at one time, because the LORD God of Israel fought for Israel. KJV — Joshua 10:42


  “모세는 군인들에게 여자와 남자 아이들을 멸망시키라고 명령하였다. 발람은 이스라엘 자손들을 대가를 받고 팔아넘겼으며, 이스라엘 사람 이만 사천 명을 희생시켜 얻은 그 백성의 호의를 누리다가 그들과 함께 멸망하였다. 주님께서 자신의 백성에게 다른 나라들과 전쟁을 하라고 요구하시는 것을 많은 이들이 잔혹하다고 여긴다. 그들은 그것이 주님의 자비로운 성품에 반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세상을 창조하시고 사람이 땅에 거주하도록 지으신 분은 그 손으로 지으신 모든 일에 무한한 통제권을 가지신다. 그분은 자신의 손으로 지으신 일에 대해 기뻐하시는 대로, 기뻐하시는 것을 행하실 권리가 있다. 사람이 창조주께 ‘왜 이같이 하십니까?’라고 말할 권리는 없다. 그분의 성품에는 불의가 없다. 그는 세상의 통치자이시나, 그의 백성 중 상당수가 그의 권위에 반역하고 그의 법을 짓밟았습니다. 그분은 그들에게 풍성한 복을 베풀어 주시고 필요한 모든 것으로 둘러싸 주셨으나, 그들은 자기 손으로 만든 나무와 돌, 은과 금으로 만든 우상들에게 절했습니다. 그들은 자식들에게 이 우상들이 생명을 주고 건강을 주며, 땅을 풍요롭게 하고 부와 영광을 준다고 가르친다. 그들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멸시한다. 그의 백성이 의로운 일을 행한다는 이유로 그들을 경멸한다. “어리석은 자는 마음속으로 말하기를 ‘하나님이 없다’ 하였도다. 그들은 부패하였고, 가증한 일을 행하였도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죄악의 그릇을 가득 채울 때까지 참으셨다가, 그들에게 신속한 멸망을 내리셨다.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을 진노의 도구로 삼아, 그들을 괴롭히고 우상 숭배로 유혹한 악한 나라들을 벌하셨다.” 1SP 328.1


“Moses commanded the men of war to destroy the women and male children. Balaam had sold the children of Israel for a reward, and he perished with the people whose favor he had obtained at the sacrifice of twenty-four thousand of the Israelites. The Lord is regarded as cruel, by many, in requiring his people to make war with other nations. They say that it is contrary to his benevolent character. But he who made the world, and formed man to dwell upon the earth, has unlimited control over all the works of his hands; and it is his right to do as he pleases, and what he pleases, with the work of his hands. Man has no right to say to his Maker, Why doest thou thus? There is no injustice in his character. He is the ruler of the world, and a large portion of his subjects have rebelled against his authority, and have trampled upon his law. He has bestowed upon them liberal blessings, and surrounded them with everything needful; yet they have bowed to images of wood and stone, silver and gold, which their own hands have made. They teach their children that these are the gods that give them life and health, and make their lands fruitful, and give them riches and honor. They scorn the God of Israel. They despise his people because their works are righteous. “The fool hath said in his heart, There is no God. They are corrupt, they have done abominable works.” God has borne with them until they filled up the measure of their iniquity, and then he has brought upon them swift destruction. He has used his people as instruments of his wrath, to punish wicked nations who have vexed them, and seduced them into idolatry. 1SP 328.1

10월 26일 일요일

가나안 사람들의 죄악


창세기 15:16, 레위기 18:24–30, 신명기 18:9–14, 에스라 9:11을 읽으십시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려는 더 큰 계획에 대해 이 본문들은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Read Genesis 15:16, Leviticus 18:24–30, Deuteronomy 18:9–14, and Ezra 9:11. What are these texts telling us about God’s larger plan in offering the land of Canaan to the Israelites?

  “ 여리고 백성의 완전한 멸망은 모세를 통해 가나안 주민들에게 내린 이전 명령의 성취에 불과했다: ‘너희는 그들을 쳐서 완전히 멸망시켜라.’ 신명기 7:2. ‘이 백성의 성읍들에서… 숨 쉬는 것 하나도 살려 두지 말라.’ 신명기 20:16. 많은 이들에게 이 명령들은 성경 다른 부분에서 강조된 사랑과 자비의 정신과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는 무한한 지혜와 선하심의 지시였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가나안에 세우시고 그들 가운데 지상에서 하나님의 왕국을 나타낼 나라와 정부를 발전시키려 하셨다. 그들은 참된 종교의 상속자일 뿐만 아니라 그 원리를 온 세상에 전파해야 했다. 가나안 사람들은 가장 추악하고 비열한 이교주의에 빠져 있었기에, 하나님의 은혜로운 목적을 반드시 방해할 것들을 그 땅에서 제거하는 것이 필요했다.” PP 492.1

“가나안 주민들에게는 회개할 충분한 기회가 주어졌다. 40년 전 홍해가 갈라지고 이집트에 내린 심판은 이스라엘 하나님의 지극한 능력을 증언한 바 있었다. 그리고 이제 미디안 왕들과 길르앗과 바산의 왕들이 멸망당한 것은 여호와께서 모든 신들 위에 계심을 더욱 분명히 보여 주었다. 그의 성품의 거룩함과 불결함을 혐오하시는 성품은 이스라엘이 바알페오르의 가증한 의식에 가담한 것에 대한 심판으로 드러났다. 이 모든 사건들은 여리고 주민들에게 알려져 있었으며, 라합의 확신, 즉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하늘 위와 땅 아래의 하나님이시다’는 사실을 공유하는 자들이 많았으나, 그들은 순종하기를 거부했다. 대홍수 이전의 사람들처럼 가나안 사람들은 하늘을 모독하고 땅을 더럽히기만 하며 살았다. 사랑과 정의 모두는 하나님께 반역하고 인간에게 원수인 이들을 신속히 처단할 것을 요구하였다.” PP 492.2


“The utter destruction of the people of Jericho was but a fulfillment of the commands previously given through Moses concerning the inhabitants of Canaan: “Thou shalt smite them, and utterly destroy them.” Deuteronomy 7:2. “Of the cities of these people, ... thou shalt save alive nothing that breatheth.” Deuteronomy 20:16. To many these commands seem to be contrary to the spirit of love and mercy enjoined in other portions of the Bible, but they were in truth the dictates of infinite wisdom and goodness. God was about to establish Israel in Canaan, to develop among them a nation and government that should be a manifestation of His kingdom upon the earth. They were not only to be inheritors of the true religion, but to disseminate its principles throughout the world. The Canaanites had abandoned themselves to the foulest and most debasing heathenism, and it was necessary that the land should be cleared of what would so surely prevent the fulfillment of God's gracious purposes. PP 492.1

“The inhabitants of Canaan had been granted ample opportunity for repentance. Forty years before, the opening of the Red Sea and the judgments upon Egypt had testified to the supreme power of the God of Israel. And now the overthrow of the kings of Midian, of Gilead and Bashan, had further shown that Jehovah was above all gods. The holiness of His character and His abhorrence of impurity had been evinced in the judgments visited upon Israel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abominable rites of Baalpeor. All these events were known to the inhabitants of Jericho, and there were many who shared Rahab's conviction, though they refused to obey it, that Jehovah, the God of Israel, “is God in heaven above, and upon the earth beneath.” Like the men before the Flood, the Canaanites lived only to blaspheme Heaven and defile the earth. And both love and justice demanded the prompt execution of these rebels against God and foes to man.” PP 492.2

10월 27일 월요일

최고 재판관


창세기 18:25; 시편 7:11; 시편 50:6; 시편 82:1; 시편 96:10; 그리고 디모데후서 4:1, 8을 읽으십시오. 이 구절들은 하나님의 도덕적 성품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습니까? 우주의 심판자로서의 하나님의 역할은 신성한 전쟁에 대한 질문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Timothy 4:1, 8. What are these verses saying about God’s moral character? How does the role of God as the Judge of the universe help us understand the question of divine war?

  “하나님의 영광은 자비로우시고 인내와 친절과 선하심과 진리로 충만하신 데 있습니다. 그러나 죄인을 벌하시는 데 나타난 공의는 그분의 자비를 나타내심과 마찬가지로 진실로 주님의 영광입니다”.—리뷰 앤드 헤럴드, 1904년 3월 10일. LDE 240.1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세상의 신들에게도 애굽의 신들에게 하신 것처럼 심판을 집행하실 것입니다. 불과 홍수, 재앙과 지진으로 온 땅을 황폐하게 하실 것이다. 그러면 그분의 구속받은 백성이 땅에서 그분의 이름을 높여 영광스럽게 할 것이다. 이 세상 역사의 마지막 남은 시기에 살고 있는 자들이 하나님의 교훈에 대해 깨닫지 못하겠는가?”—원고 공개 10:240, 241 (1899). LDE 240.2

“우리의 중보자로 서 계신 분, 모든 회개의 기도와 고백을 들으시는 분, 은혜와 사랑의 상징인 무지개가 그분의 머리를 둘러싼 모습으로 묘사되신 분이 곧 하늘 성소에서의 사역을 마치실 것입니다. 그때 은혜와 자비는 보좌에서 내려오고 정의가 그 자리를 차지할 것입니다. 그분의 백성이 바라보던 그분이 그분의 권리, 즉 지극히 높으신 재판관의 직분을 취하실 것입니다.” —리뷰 앤드 헤럴드, 1889년 1월 1일. LDE 240.3

“성경 전체에서 하나님은 자비와 선하심의 존재일 뿐만 아니라 엄격하고 공정한 정의의 하나님으로 제시됩니다.”—사인의 시대, 1881년 3월 24일. LDE 240.4

“하나님 심판의 확실성”

“오늘날 하나님의 사랑은 죄인을 멸망시키지 못할 만큼 자비로운 성품으로 묘사된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낮은 정의 기준에서 추론한다. ‘너는 나를 너와 같은 사람으로 여겼도다’(시편 50:21). 그들은 하나님을 자신들의 기준으로 재고, 자신들이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 추측하며 하나님도 자신들이 상상하는 대로 하실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LDE 240.5

그들에게는 왕이 있었으니, 이는 무저갱의 천사라, 그 이름은 히브리어로 아바돈이라 하고, 그리스어로는 아폴리온이라 하니라. KJV — 요한계시록 9:11

아바돈은 히브리어로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그분을 “파괴자”로 나타내며, 구약 시대에 그분이 단순히 많은 원수들을 멸망시켰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아폴리온은 그리스어로 그분의 이름으로, 그분을 “근절자”로 나타내며, 신약 시대에 그분이 모든 악한 자들을 근절하실 것임을 보여줍니다. (이 상징적 호칭들 속에 담긴 의미의 정교함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It is the glory of God to be merciful, full of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and truth. But the justice shown in punishing the sinner is as verily the glory of the Lord as is the manifestation of His mercy.—The Review and Herald, March 10, 1904. LDE 240.1

“The Lord God of Israel is to execute judgment upon the gods of this world as upon the gods of Egypt. With fire and flood, plagues and earthquakes, He will spoil the whole land. Then His redeemed people will exalt His name and make it glorious in the earth. Shall not those who are living in the last remnant of this earth's history become intelligent in regard to God's lessons?—Manuscript Releases 10:240, 241 (1899). LDE 240.2

“The One who has stood as our Intercessor; who hears all penitential prayers and confessions; who is represented with a rainbow, the symbol of grace and love, encircling His head, is soon to cease His work in the heavenly sanctuary. Grace and mercy will then descend from the throne, and justice will take their place. He for whom His people have looked will assume His right—the office of Supreme Judge.—The Review and Herald, January 1, 1889. LDE 240.3

“In all the Bible, God is presented not only as a Being of mercy and benevolence, but as a God of strict and impartial justice.—The Signs of the Times, March 24, 1881. LDE 240.4

“The Certainty of God's Judgments

“God's love is represented in our day as being of such a character as would forbid His destroying the sinner. Men reason from their own low standard of right and justice. “Thou thoughtest that I was altogether such an one as thyself” (Psalm 50:21). They measure God by themselves. They reason as to how they would act under the circumstances and decide God would do as they imagine they would do....” LDE 240.5

And they had a king over them, which is the angel of the bottomless pit, whose name in the Hebrew tongue is Abaddon, but in the Greek tongue hath his name Apollyon. KJV — Revelation 9:11

Abaddon, Christ’s name in the Hebrew, signifying Him as a “destroyer,” shows that in the Old Testament period He simply destroyed many of His enemies; whereas Apollyon, His name in the Greek, signifying Him as an “exterminator,” shows that in the New Testament period He will exterminate all the wicked. (What beautiful precision of connotation in these symbolic appellations!) And this exterminatory work is vividly pictured in the climactic scene.

10월 28일 화요일

몰수 또는 전멸


출애굽기 23:28-30; 출애굽기 33:2; 출애굽기 34:11; 민수기 33:52; 신명기 7:20을 출애굽기 34:13; 신명기 7:5; 신명기 9:3; 신명기 12:2, 3; 신명기 31:3, 4을 비교하라. 이 본문들은 정복의 목적과 파괴의 정도에 대해 무엇을 드러내는가?

Compare Exodus 23:28–30; Exodus 33:2; Exodus 34:11; Numbers 33:52; and Deuteronomy 7:20 with Exodus 34:13; Deuteronomy 7:5; Deuteronomy 9:3; Deuteronomy 12:2, 3; and Deuteronomy 31:3, 4. What do these texts reveal about the purpose of the conquest and the extent of the destruction?

  “히브리인들은 죄악의 한계를 넘은 가나안 주민들을 몰아내고 완전히 멸망시켜야 했지만, 에돔 사람들은 아직 시험 기간에 있었기에 자비롭게 대우받아야 했다. 하나님은 자비를 기뻐하시며, 심판을 내리기 전에 자비를 베푸신다. 이스라엘에게 가나안 주민들을 멸망시키기 전에 에돔 백성을 살려두라고 가르치신 것이다. PP 423.2

“가나안 사람들은 정복당했지만, 여전히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기에, 여호수아는 백성들에게 안주하여 편안히 살지 말고, 이 우상 숭배하는 민족들을 완전히 몰아내라는 주님의 명령을 잊지 말라고 권면하였다.” PP 521.2

“백성들은 일반적으로 이방인들을 쫓아내는 일을 완수하는 데 느렸다. 각 지파는 자기 소유지로 흩어졌고 군대는 해산되었으며, 전쟁을 재개하는 것은 어렵고 불확실한 일로 여겨졌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선언하였다: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시고 너희 눈앞에서 제거하실 것이며,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약속하신 대로 그들의 땅을 차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모세의 율법책에 기록된 모든 것을 지키고 행하기 위하여 매우 담대하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치우치지 말라.’” PP 521.3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좌에 오른 직후, 그는 자신의 왕국 수도로 더 적합한 장소를 찾기 시작했다. 헤브론에서 20마일 떨어진 곳이 왕국의 미래 수도로 선정되었다.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군대를 이끌고 요단을 건너기 전에는 그곳을 살렘이라 불렀다.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대한 충성을 증명했던 곳이 바로 그 근처였다. 다윗의 즉위 800년 전, 이곳은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 멜기세덱의 고향이었습니다. 이 도시는 나라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높은 지형을 차지했고, 주변의 구릉 지형에 의해 보호받고 있었습니다. 베냐민 지파와 유다 지파의 경계에 자리하여 에브라임 지파와도 가깝고 다른 지파들로의 접근성도 뛰어났습니다." PP 703.1

“이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히브리인들은 시온 산과 모리아 산에 요새화된 거점을 점유하고 있던 가나안인의 잔여 세력을 몰아내야 했다. 이 요새는 예부스라 불렸으며 그 주민들은 예부스인들로 알려져 있었다. 수세기 동안 예부스는 난공불락의 요새로 여겨져 왔으나, 요압이 이끄는 히브리인들의 포위 공격을 받고 함락되었다. 요압은 그의 용맹을 인정받아 이스라엘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예부스는 이제 국가의 수도가 되었으며, 이방인의 이름은 예루살렘으로 바뀌었다.” PP 703.2


“The Hebrews were to dispossess and utterly destroy the inhabitants of Canaan, who had filled up the measure of their iniquity but the Edomites were still probationers, and as such were to be mercifully dealt with. God delights in mercy, and He manifests His compassion before He inflicts His judgments. He teaches Israel to spare the people of Edom, before requiring them to destroy the inhabitants of Canaan.” PP 423.2

“Although the Canaanites had been subdued, they still possessed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land promised to Israel, and Joshua exhorted his people not to settle down at ease and forget the Lord's command to utterly dispossess these idolatrous nations. PP 521.2

“The people in general were slow to complete the work of driving out the heathen. The tribes had dispersed to their possessions, the army had disbanded, and it was looked upon as a difficult and doubtful undertaking to renew the war. But Joshua declared: ‘The Lord your God, He shall expel them from before you, and drive them from out of your sight; and ye shall possess their land, as the Lord your God hath promised unto you. Be ye therefore very courageous to keep and to do all that is written in the book of the law of Moses, that ye turn not aside therefrom to the right hand or to the left.’” PP 521.3

“As soon as David was established on the throne of Israel he began to seek a more appropriate location for the capital of his realm. Twenty miles from Hebron a place was selected as the future metropolis of the kingdom. Before Joshua had led the armies of Israel over Jordan it had been called Salem. Near this place Abraham had proved his loyalty to God. Eight hundred years before the coronation of David it had been the home of Melchizedek, the priest of the most high God. It held a central and elevated position in the country and was protected by an environment of hills. Being on the border between Benjamin and Judah, it was in close proximity to Ephraim and was easy of access to the other tribes. PP 703.1

“In order to secure this location the Hebrews must dispossess a remnant of the Canaanites, who held a fortified position on the mountains of Zion and Moriah. This stronghold was called Jebus, and its inhabitants were known as Jebusites. For centuries Jebus had been looked upon as impregnable; but it was besieged and taken by the Hebrews under the command of Joab, who, as the reward of his valor, was made commander-in-chief of the armies of Israel. Jebus now became the national capital, and its heathen name was changed to Jerusalem.” PP 703.2

10월 29일 수요일

자유 선택


신명기 20:10, 15–18; 신명기 13:12–18; 여호수아 10:40을 읽으십시오. 신명기에 기록된 전쟁 법과 우상 숭배 도시를 대하는 절차는 이스라엘 백성이 벌인 전쟁에서 완전한 파괴의 한계를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Read Deuteronomy 20:10, 15–18; Deuteronomy 13:12–18; and Joshua 10:40. How does the law of warfare and the procedure against an idolatrous town in Israel, expressed in Deuteronomy, help us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otal destruction in the war that the Israelites were engaged in?

  “여호수아의 지시로 언약궤가 실로에서 옮겨졌다. 이 행사는 매우 엄숙한 자리였으며,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이 물건은 그가 백성들에게 심어주고자 하는 인상을 더욱 깊게 할 것이었다.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은혜를 제시한 후, 그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그들에게 누구를 섬길지 선택하라고 촉구하였다. 우상 숭배는 여전히 어느 정도 은밀히 행해지고 있었기에, 여호수아는 이제 이스라엘에서 이 죄악을 근절할 결단을 내리도록 그들을 이끌려 했다. ‘여호와를 섬기는 것이 너희에게 악하다면, 오늘 너희가 섬길 자를 선택하라’고 그는 말했다. 여호수아는 강요가 아닌 자발적으로 하나님을 섬기도록 그들을 인도하고자 했다. 하나님을 향한 사랑은 종교의 근본이다. 보상이나 벌에 대한 두려움만으로 그분을 섬기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공개적인 배교보다 위선과 형식적인 예배가 하나님께 더 거슬리는 일이다.” PP 523.1

“노년의 지도자는 백성들에게 자신이 제시한 모든 사항을 각별히 고려하여, 주변의 타락한 우상 숭배 민족들처럼 살고자 하는지 진정으로 결정하라고 촉구했다. 만일 그들에게 능력의 근원이시며 복의 샘이신 여호와를 섬기는 것이 악하게 보인다면, 그날 그들이 섬길 자를 선택하라고 하셨다—‘너희 조상들이 섬기던 신들’ 즉 아브라함이 부르심을 받은 그 신들, ‘아니면 너희가 살고 있는 이 땅의 아모리 사람들의 신들’ 중에서 선택하라고. 이 마지막 말씀은 이스라엘에게 날카로운 책망이었다. 아모리 족속의 신들은 그들의 숭배자들을 보호하지 못하였다. 그들의 가증하고 타락한 죄악 때문에 그 악한 민족은 멸망하였고, 그들이 한때 차지했던 좋은 땅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주어졌다. 아모리 족속이 멸망당한 바로 그 신들을 숭배하기로 선택하는 것이 이스라엘에게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여호수아는 말하였다.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 지도자의 마음을 불태운 그 거룩한 열정이 백성들에게도 전해졌다. 그의 호소에 백성들은 주저 없이 응답하였다. ‘우리가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신들을 섬기리이다. 결코 그러지 않으리이다.’” PP 523.2


“By Joshua's direction the ark had been brought from Shiloh. The occasion was one of great solemnity, and this symbol of God's presence would deepen the impression he wished to make upon the people. After presenting the goodness of God toward Israel, he called upon them, in the name of Jehovah, to choose whom they would serve. The worship of idols was still to some extent secretly practiced, and Joshua endeavored now to bring them to a decision that should banish this sin from Israel. “If it seem evil unto you to serve Jehovah,” he said, “choose you this day whom ye will serve.” Joshua desired to lead them to serve God, not by compulsion, but willingly. Love to God is the very foundation of religion. To engage in His service merely from hope of reward or fear of punishment would avail nothing. Open apostasy would not be more offensive to God than hypocrisy and mere formal worship. PP 523.1

“The aged leader urged the people to consider, in all its bearings, what he had set before them, and to decide if they really desired to live as did the degraded idolatrous nations around them. If it seemed evil to them to serve Jehovah, the source of power, the fountain of blessing, let them that day choose whom they would serve—“the gods which your fathers served,” from whom Abraham was called out, “or the gods of the Amorites, in whose land ye dwell.” These last words were a keen rebuke to Israel. The gods of the Amorites had not been able to protect their worshipers. Because of their abominable and debasing sins, that wicked nation had been destroyed, and the good land which they once possessed had been given to God's people. What folly for Israel to choose the deities for whose worship the Amorites had been destroyed! “As for me and my house,” said Joshua, “we will serve Jehovah.” The same holy zeal that inspired the leader's heart was communicated to the people. His appeals called forth the unhesitating response, ‘God forbid that we should forsake Jehovah, to serve other gods.’” PP 523.2

10월 30일 목요일

평화의 왕


다음 본문들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위해 계획하신 미래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습니까? 사 9:6, 사 11:1–5, 사 60:17, 호 2:18, 미 4:3.

How do the following texts describe the future that God had envisioned for His people? Isa. 9:6, Isa. 11:1–5, Isa. 60:17, Hos. 2:18, Mic. 4:3.

  “산 위에 선한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알리는 자의 발이 보이도다! 유다여, 네 절기를 지키고 네 서원을 이행하라. 악인이 다시는 너를 지나가지 아니할 것이니 그는 완전히 끊어졌느니라.” KJV — 나훔 1:15

“하나님의 백성의 칭호는 ‘유다’임을 주목하라. 그들은 이 예언이 성취될 때 그들에게 좋은 소식, 평화의 소식을 전하는 하나님의 사자를 바라보라고 권고받는다… 평화의 왕국에 관한 메시지(사 11:6-9). 주님은 그들에게 자신에게 정직하라고, 신앙 고백에 정직하라고 권고하신다. 또한 그들은 이 예언이 성취될 때 멸망의 천사들이 의인들 가운데서 악인들을 제거할 것임을 확신합니다. 그리하여 악인들은 ‘휴거’되어 사라질 것입니다.

“그 날에 이새의 뿌리가 일어나 민족들의 깃발이 되리니 이방인들이 그것을 찾으리니 그의 안식이 영광이 되리라.” KJV — 이사야 11:10

“즉, 가지의 날(기독교 시대)에, 이 가계도가 완성되는 날에, 평화의 왕국(정화된 교회)이 말하자면 땅에서부터 싹트게 된다. 그러면 그것은 백성에게 깃발이 되어 세워지며, 이방인들이 구원을 얻으려 그것을 찾으리라. 분명히, 이 오래된 가계도, 왕국은 시험 기간 동안 세워져야 한다. 또한 그곳이 서 있을(안식할) 장소는 영광스러울 것이다. 그러므로 그곳은 자체의 위치와 경계선을 가질 것이다. 그것은 백성을 모으기 위한 곳, 노아 시대의 방주와 같은 오늘날의 방주가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다시 이사야 2장과 미가 4장이 가르치는 동일한 진리로 돌아가게 된다.”


“Behold upon the mountains the feet of him that bringeth good tidings, that publisheth peace! O Judah, keep thy solemn feasts, perform thy vows: for the wicked shall no more pass through thee; he is utterly cut off.” KJV — Nahum 1:15

“The title of God’s people, you note, is “Judah.” They are counselled to behold the messenger of God who at the fulfillment of this prophecy brings to them good tidings, tidings of peace…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peace (Isa. 11:6-9). The Lord counsels them to be honest with Him, honest in their profession of faith. They are, moreover, assured that at the fulfillment of this prophecy the destroying angels are to remove the wicked from the midst of the righteous. Thus will the wicked be “raptured” away and be no more.

“And in that day there shall be a root of Jesse, which shall stand for an ensign of the people; to it shall the Gentiles seek: and his rest shall be glorious.” KJV — Isaiah 11:10

“That is, in the day of the Branch (in the Christian period), in the day this family tree is completed, then it is that the Kingdom of peace (the church purified) sprouts, so to speak, from the ground up. It then stands for an ensign to the people, and to It shall the Gentiles seek for salvation. Plainly, then, this old family tree, Kingdom, is to be set up while probation lasts. Moreover, the place where It is to stand (rest) shall be glorious. It is therefore to have Its own location, and Its own boundary line. It is to be for the gathering of the people, the ark of today as was Noah’s ark in Noah’s day. So we are again brought to the same truth which Isaiah, chapter 2, and Micah, chapter 4, teach:”

열왕기하 6:16-23을 읽으십시오. 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백성과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더 깊은 목적에 대해 어떤 통찰력을 제공합니까?

Read 2 Kings 6:16–23. What insights does this story provide into the deeper purposes of God for His people and humanity?

  “하나님의 신실한 종들은 홀로 고생하지 않았다. 권세와 능력과 높은 곳에 있는 악한 영들이 그들을 대적하여 연합하였으나, 주님은 그의 백성을 버리지 않으셨다. 그들의 눈이 열렸더라면, 옛 선지자에게 허락되었던 것처럼 신적 임재와 도움의 뚜렷한 증거를 보았을 것이다. 엘리사의 종이 주인을 향해 그들을 포위하고 탈출의 모든 기회를 차단한 적군을 가리켰을 때, 선지자는 이렇게 기도하였다: ‘주여, 그 눈을 뜨게 하사 보게 하소서.’ 열왕기하 6:17. 그러자 보라, 산이 불마차와 불말들로 가득 찼으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된 하늘 군대였다.” GC 208.4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 선지자의 대답이었다. ‘우리와 함께 계신 이들이 그들과 함께 있는 이들보다 더 많으니라.’ 그러자 그 종이 직접 이를 알 수 있도록 ‘엘리사가 기도하며 말하였다. 주여, 내가 간구하오니 그의 눈을 열어 보게 하소서.’ ‘여호와께서 그 청년의 눈을 뜨게 하시니 그가 보니, 보라, 산이 엘리사 주위에 불말과 불수레로 가득 차 있더라.’ 하나님의 종과 무장한 적군 사이에는 하늘의 천사들이 둘러싼 무리가 있었다. 그들은 강력한 권능으로 내려왔으나, 멸망시키거나 경배를 강요하기 위함이 아니라 주님의 연약하고 무력한 자들을 둘러싸고 섬기기 위함이었다.” PK 256.4


“God's faithful servants were not toiling alone. While principalities and powers and wicked spirits in high places were leagued against them, the Lord did not forsake His people. Could their eyes have been opened, they would have seen as marked evidence of divine presence and aid as was granted to a prophet of old. When Elisha's servant pointed his master to the hostile army surrounding them and cutting off all opportunity for escape, the prophet prayed: “Lord, I pray Thee, open his eyes, that he may see.” 2 Kings 6:17. And, lo, the mountain was filled with chariots and horses of fire, the army of heaven stationed to protect the man of God.” GC 208.4

“‘Fear not,’ was the answer of the prophet; “for they that be with us are more than they that be with them.” And then, that the servant might know this for himself, “Elisha prayed, and said, Lord, I pray Thee, open his eyes, that he may see.” “The Lord opened the eyes of the young man; and he saw: and, behold, the mountain was full of horses and chariots of fire round about Elisha.” Between the servant of God and the hosts of armed foemen was an encircling band of heavenly angels. They had come down in mighty power, not to destroy, not to exact homage, but to encamp round about and minister to the Lord's weak and helpless ones.” PK 256.4

10월 31일 금요일

더 깊은 생각

  “진정으로 회개한 모든 영혼은 하나님의 율법을 어겼기에 그분께 회개할 것이다. 죄 많은 이스라엘이 얼마나 조심스럽고 떨리는 마음으로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며 신성한 은혜에 들어갈 것을 간구했는지. 이 백성에게 그것은 단순한 형식적 행위가 아니라 간절한 탄원이었다. 우리 시대에 하나님의 진노가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이스라엘에게 무거운 벌이 내렸던 때처럼 범죄 뒤에 갑작스러운 보복이 따른다면, 하나님의 율법을 대담하게 무시하고 거역하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많은 이들이 계속해서 범죄하며, 은혜가 너무나 자유롭고 풍성하여 결코 심판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양심을 달래고 있다. 그러나 위대하신 하나님은 모세 시대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율법을 질투하십니다. 비뚤어진 마음을 오래 참으시지만, 반드시 자신의 거룩한 율법을 범한 모든 자를 심판하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악한 나라들에게 시험의 시간을 주셨습니다. 그들이 하늘의 하나님이 그들의 무의미한 우상들보다 우월함을 보고 깨닫도록, 참되고 살아계신 하나님의 능력을 증거해 보이셨습니다. 주어진 빛에 따라 심판이 내려졌습니다. 그들이 하나님의 길보다 자기 길을, 하나님의 의보다 자기 악을 선택했을 때, 결정이 완전히 내려지면 그때가 바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벌하실 때가 된 것이다.” ST 1880년 6월 3일, 8항


“All truly converted souls will exercise repentance toward God, because they have broken his law. How carefully and tremblingly sinful Israel sought the pardon of God, and to be taken into divine favor. It was not merely form with this people, but earnest pleadings. Were there in our day visible manifestations of God’s wrath, and sudden retribution following crime as when the punishment fell so heavily upon Israel there would be less bold presumption and defiance of God’s law. Many continue in transgression, flattering their conscience that grace is so free and abundant that they will never be called to an account. But the great God is just as jealous of his law as in the days of Moses; though he bears long with perverse hearts he will surely bring to account all transgressors of his sacred law. God gave the wicked nations a time of probation. He would give them evidences of the power of the true and living God, that they might see and understand the superiority of the God of Heaven to their senseless idols. According to the light given was the condemnation. If they chose their own way before God’s ways, and their own wickedness before the righteousness of God, when the decision was fully made then God’s time had come to punish them.” ST June 3, 1880, pa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