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난한 시작

제3강, 3분기, 2025년 7월 12일~18일

img rest_in_christ
이 레슨 공유하기
sharethis sharing button
copy sharing button
email sharing button
whatsapp sharing button
facebook sharing button
twitter sharing button
telegram sharing button
messenger sharing button
line sharing button
wechat sharing button
vk sharing button
tencentqq sharing button
weibo sharing button
kakao sharing button
Download PDF

안식일 오후 7월 12일

기억 본문:

“그 후에 모세와 아론이 들어가서 파라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기를, 내 백성을 보내어 광야에서 내게 제사를 드리도록 하라.’ 파라오가 말하였다. ‘여호와가 누구이기에 내가 그의 말을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겠느냐?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며, 이스라엘을 보내지 아니하리라.’ KJV — 출애굽기 5:1, 2

“And afterward Moses and Aaron went in, and told Pharaoh, Thus saith the LORD God of Israel, Let my people go, that they may hold a feast unto me in the wilderness. And Pharaoh said, Who is the LORD, that I should obey his voice to let Israel go? I know not the LORD, neither will I let Israel go.” KJV — Exodus 5:1, 2


  “The Hebrews had expected to obtain their freedom without any special trial of their faith or any real suffering or hardship. But they were not yet prepared for deliverance. They had little faith in God, and were unwilling patiently to endure their afflictions until He should see fit to work for them. Many were content to remain in bondage rather than meet the difficulties attending removal to a strange land; and the habits of some had become so much like those of the Egyptians that they preferred to dwell in Egypt. Therefore the Lord did not deliver them by the first manifestation of His power before Pharaoh. He overruled events more fully to develop the tyrannical spirit of the Egyptian king and also to reveal Himself to His people. Beholding His justice, His power, and His love, they would choose to leave Egypt and give themselves to His service. The task of Moses would have been much less difficult had not many of the Israelites become so corrupted that they were unwilling to leave Egypt.” PP 260.2

“히브리인들은 믿음의 특별한 시험이나 진정한 고통이나 고난 없이 자유를 얻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구원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부족했으며, 그가 그들을 위해 일하시기까지 고통을 참을성 있게 견디려 하지 않았습니다. 많은 이들은 낯선 땅으로의 이주에 따른 어려움을 감당하기보다는 노예 상태에 머무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일부의 습관은 이집트인들의 습관과 너무도 닮아 이집트에 머무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따라서 하나님은 파라오 앞에서 자신의 권능을 처음 나타내시어 그들을 구원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는 사건을 더 완전히 주도하여 이집트 왕의 독재적 정신을 드러내고 또한 자신의 백성에게 자신을 나타내시기 위해 그렇게 하셨습니다. 그의 정의, 권능, 사랑을 목격한 그들은 이집트를 떠나 그의 사역에 자신을 바치기로 선택할 것입니다. 모세의 임무는 이스라엘 백성 중 많은 이들이 이집트를 떠나기를 거부할 정도로 타락하지 않았다면 훨씬 덜 어려웠을 것입니다.” PP 260.2

7월 13일 일요일

주님은 누구신가?


하나님의 요구인 “내 백성을 보내라”(출애굽기 5:1, 2)에 대해 파라오의 반응은 무엇이었으며, 이 반응에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What was Pharaoh’s response to God’s demand, “Let my people go” (see Exod. 5:1, 2), and what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is response?

   “모세는 또한 왕에게 전할 메시지를 맡겨졌습니다. 두 형제는 왕 중의 왕인 하나님의 사신으로 파라오의 궁전에 들어가 그의 이름으로 말했습니다: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 백성을 보내어 광야에서 내게 제사를 드리도록 하라.’” PP 257.2

“‘여호와가 누구이기에 그의 목소리를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야 하겠는가?’ 왕이 요구했습니다.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며, 이스라엘을 보내지 않을 것이다.’” PP 257.3

“그들의 대답은 이랬다. ‘히브리인의 하나님이 우리와 만나셨으니, 삼일 길이의 광야로 가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도록 허락해 주시기를 간청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분이 전염병이나 칼로 우리에게 내리실까 두려우니.’" PP 257.4

“하나님의 손 아래에서 자연은 하나님의 법을 어긴 자들에게 대항하여 작용합니다. 그녀는 파괴적인 요소들을 품에 품고 있다가, 인간을 멸망시키고 지구를 정화하기 위해 그 요소들이 폭발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파라오가 모세와 아론을 통해 하나님을 거역하며 말했습니다. '주님이 누구이시기에 내가 그분의 목소리를 순종해야 합니까...? 나는 주님을 알지 못하며, 이스라엘을 놓아주지 않겠다'고 말했을 때, 자연은 상처받은 창조주와 동조하며 하나님과 협력하여 여호와께 대한 모욕을 복수했습니다. 파라오의 완고한 저항으로 인해 이집트 전역이 황폐해졌습니다.—편지 209, 1899.” 3MR 344.3

“‘그 후에 모세와 아론이 들어가 파라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말씀하시기를, 내 백성을 보내어 광야에서 내게 제사를 드리도록 하라.’ 파라오가 말하였다. ‘여호와가 누구이기에 내가 그의 말을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야 하겠느냐? 나는 주님을 알지 못하며, 이스라엘을 보내지 않을 것이다.’ 그들이 말하였다. ‘히브리인의 하나님이 우리와 만나셨으니, 청하건대 사흘 길만큼 광야로 들어가 주 우리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도록 허락해 주시옵소서. 그렇지 않으면 그가 전염병이나 칼로 우리에게 내리실까 두려우니이다.’ 모세와 아론의 요청은 매우 겸손했습니다. 그들은 단지 세 날의 여정을 요청했을 뿐입니다. 그러나 파라오는 교만하게 이를 거부하고,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전혀 모른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주님은 파라오에게 그의 목소리를 순종해야 함을 알게 하려 하셨으며, 그가 모든 것 위에 계시며, 교만한 통치자들을 그의 권위에 굴복하게 하실 것임을 보이려 하셨습니다.” 3SG 197.1


 “Moses had been charged also with a message for the king. The two brothers entered the palace of the Pharaohs as ambassadors from the King of kings, and they spoke in His name: “Thus saith Jehovah, God of Israel, Let My people go, that they may hold a feast unto Me in the wilderness.” PP 257.2

“‘Who is Jehovah, that I should obey His voice to let Israel go?’ demanded the monarch; “I know not Jehovah, neither will I let Israel go. PP 257.3

“Their answer was, ‘The God of the Hebrews hath met with us: let us go, we pray thee, three days’ journey into the desert, and sacrifice unto the Lord our God; lest He fall upon us with pestilence, or with the sword.’ PP 257.4

“Under the hand of God, nature ministers against the transgressors of God's laws. She holds her destructive elements in her bosom till the time when they shall break forth to destroy man and purify the earth. When Pharaoh defied God through Moses and Aaron saying, “Who is the Lord that I should obey His voice...? I know not the Lord, neither will I let Israel go,” nature expressed her sympathy with her injured Maker, and cooperated with God to avenge the insult to Jehovah. All Egypt was laid desolate because of the stubborn resistance of Pharaoh.—Letter 209, 1899.” 3MR 344.3

“‘And afterward, Moses and Aaron went in and told Pharaoh, Thus saith the Lord God of Israel, Let my people go, that they may hold a feast unto me in the wilderness. And Pharaoh said, Who is the Lord, that I should obey his voice to let Israel go? I know not the Lord, neither will I let Israel go. And they said, The God of the Hebrews hath met with us; let us go, we pray thee, three days’ journey into the desert, and sacrifice unto the Lord our God, lest he fall upon us with pestilence, or with the sword.’ The request of Moses and Aaron was very modest. They asked to go only three days’ journey. But Pharaoh haughtily refused this, and professed to be entirely ignorant of the God of Israel. But the Lord purposed to let Pharaoh know that his voice is to be obeyed; that he is above all, and will compel proud rulers to bow to his authority.”

7월 14일 월요일

어려운 시작


출애굽기 5장 3절부터 23절을 읽어보세요. 모세와 아론이 파라오와 처음 만난 사건의 즉각적인 결과는 무엇이었나요?

Read Exodus 5:3–23. What were the immediate results of Moses and Aaron’s first recorded encounter with Pharaoh?

 “그들에 대한 소식과 그들이 백성들 사이에서 일으키고 있는 관심은 이미 왕에게 전해졌다. 그의 분노가 타올랐다. ‘모세와 아론아, 왜 너희는 백성들이 일을 하지 못하게 하는가?’라고 그는 말했다. ‘너희는 너희의 짐으로 돌아가라.’ 이미 그 왕국은 이 이방인들의 간섭으로 인해 손실을 입었다. 이 생각을 하며 그는 덧붙였다. ‘보라, 이 땅의 백성은 이제 많으니, 너희가 그들을 짐에서 쉬게 하느냐?’ PP 257.5

“왕은 완전히 분노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그의 통치에서 반란을 일으키려는 음모를 품고 있다고 의심했다. 무위도식은 불만을 초래했으니, 그는 그들에게 위험한 음모를 꾸미는 시간을 주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는 즉시 그들의 족쇄를 강화하고 독립적인 정신을 억압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그날 즉시 명령이 내려져 그들의 노동이 더욱 잔인하고 억압적으로 되었습니다. 그 나라에서 가장 흔한 건축 재료는 햇빛에 말린 벽돌이었습니다. 가장 화려한 건축물의 벽은 이 벽돌로 만들어지고 돌로 마감되었습니다. 벽돌 제조에는 많은 노예들이 동원되었습니다. 점토를 결합시키기 위해 잘게 썬 짚을 섞어야 했기 때문에 작업에 많은 양의 짚이 필요했습니다. 왕은 이제 더 이상 짚을 공급하지 않도록 명령했고, 노동자들은 스스로 짚을 찾아야 했지만, 동일한 양의 벽돌을 요구했습니다.” PP 258.2


“Tidings of them and of the interest they were exciting among the people had already reached the king. His anger was kindled. ‘Wherefore do ye, Moses and Aaron, let [hinder] the people from their works?’ he said. ‘Get you unto your burdens.’ Already the kingdom had suffered loss by the interference of these strangers. At thought of this he added, ‘Behold, the people of the land now are many, and ye make them rest from their burdens.’” PP 257.5

“The king, thoroughly roused, suspected the Israelites of a design to revolt from his service. Disaffection was the result of idleness; he would see that no time was left them for dangerous scheming. And he at once adopted measures to tighten their bonds and crush out their independent spirit. The same day orders were issued that rendered their labor still more cruel and oppressive. The most common building material of that country was sun-dried brick; the walls of the finest edifices were made of this, and then faced with stone; and the manufacture of brick employed great numbers of the bondmen. Cut straw being intermixed with the clay, to hold it together, large quantities of straw were required for the work; the king now directed that no more straw be furnished; the laborers must find it for themselves, while the same amount of brick should be exacted.” PP 258.2

출애굽기 5장 21절을 읽고, 모세와 아론을 대면한 이 남성들의 입장이 되어보세요. 그들이 왜 그런 말을 했을까요?

Read Exodus 5:21 and then put yourself in the place of these men as they confronted Moses and Aaron. Why would they say what they did?

  “이 명령은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서 큰 고통을 초래했습니다. 이집트 감독관들은 히브리인 관리들을 임명하여 백성의 일을 감독하게 했고, 이 관리들은 자신들이 감독하는 사람들의 노동에 대해 책임을 지고 있었습니다. 왕의 명령이 시행되자 백성들은 땅 곳곳으로 흩어져 짚 대신 짚단을 모으기 시작했지만, 평소와 같은 양의 노동을 완수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이 실패로 인해 히브리인 관리들은 잔인하게 매맞았습니다. PP 258.3

“이 관리들은 그들의 억압이 감독관들로부터 왔다고 생각했고, 왕 자신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고 여겼습니다. 그들은 불만을 품고 왕에게 갔습니다. 그들의 항의는 파라오의 조롱으로 맞았습니다: ‘너희는 게을러서, 게을러서, 그래서 너희는 ‘주님께 제사를 드리러 가자’고 말하는 거다.’ 그들은 일터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그들의 부담이 어떤 경우에도 경감되지 않을 것이라는 선언이 동반되었습니다. 돌아가던 중 그들은 모세와 아론을 만나며 외쳤습니다. ‘주님께서 너희를 보시고 심판하시기를. 너희가 우리를 파라오와 그의 신하들의 눈에 혐오스럽게 만들었기 때문에, 그들이 우리를 죽이기 위해 칼을 들게 하였으니.’” PP 258.4


“This order produced great distress among the Israelites throughout the land. The Egyptian taskmasters had appointed Hebrew officers to oversee the work of the people, and these officers were responsible for the labor performed by those under their charge. When the requirement of the king was put in force, the people scattered themselves throughout the land, to gather stubble instead of straw; but they found it impossible to accomplish the usual amount of labor. For this failure the Hebrew officers were cruelly beaten. PP 258.3

“These officers supposed that their oppression came from their taskmasters, and not from the king himself; and they went to him with their grievances. Their remonstrance was met by Pharaoh with a taunt: “Ye are idle, ye are idle: therefore ye say, Let us go and do sacrifice to the Lord.” They were ordered back to their work, with the declaration that their burdens were in no case to be lightened. Returning, they met Moses and Aaron, and cried out to them, ‘The Lord look upon you, and judge; because ye have made our savor to be abhorred in the eyes of Pharaoh, and in the eyes of his servants, to put a sword in their hand to slay us.’” PP 258.4

7월 15일 화요일

신성한 ‘나’


출애굽기 5:22–6:8을 읽으십시오. 하나님은 모세에게 어떻게 응답하셨으며, 여기에서 어떤 중요한 신학적 진리가 드러나고 있습니까?

Read Exodus 5:22–6:8. What is God’s response to Moses, and what important theological truths are revealed here?

 "모세는 이 비난을 듣고 크게 괴로워했습니다. 백성들의 고통은 크게 증가했습니다. 땅 곳곳에서 노인부터 젊은이까지 절망의 탄식이 터져 나왔고, 모두 한마음으로 그에게 그들의 처지가 악화된 책임을 돌렸습니다. 그는 마음의 고통 속에서 하나님 앞에 나아가며 외쳤다. '주님, 왜 이 백성을 이렇게 악하게 대하셨나이까? 왜 저를 보내셨나이까? 제가 파라오에게 주님의 이름으로 말하러 갔을 때, 그는 이 백성에게 악을 행하였고, 주님은 이 백성을 전혀 구원하지 않으셨나이다.' 답변은 이랬습니다. “이제 네가 내가 파라오에게 무엇을 할지 보리라. 강한 손으로 그들을 놓아줄 것이며, 강한 손으로 그들을 그의 땅에서 내쫓을 것이니라.” 다시 그는 하나님이 조상들과 맺은 언약을 상기시켰고, 그 언약이 이루어질 것임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PP 259.1

이스라엘의 장로들은 형제들의 흔들리는 믿음을 지탱하기 위해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을 반복하고, 요셉이 죽기 전에 예언한 말들을 전하며 이집트에서 구원받을 것을 예고했습니다. 일부는 듣고 믿었지만, 다른 이들은 주변 상황을 보며 희망을 버렸습니다. 이집트인들은 그들의 노예들 사이에서 전해지는 소식을 듣고 그들의 기대를 조롱하며 그들의 하나님의 능력을 경멸스럽게 부인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노예의 민족이라는 상황을 지적하며 조롱스럽게 말했습니다. ‘만약 너희의 하나님이 공정하고 자비로우며 이집트 신들보다 더 큰 권능을 지니셨다면, 왜 너희를 자유로운 백성으로 만들지 않으시느냐?’ 그들은 자신의 상황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인들이 거짓 신이라고 부르는 신들을 숭배했지만, 그들은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였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신들이 그들에게 번영을 베풀어 주셨고, 이스라엘인을 종으로 주셨다고 선언했으며, 여호와를 숭배하는 자들을 억압하고 파괴하는 그들의 권력을 자랑했습니다. 파라오 자신은 히브리인의 하나님이 그의 손에서 그들을 구원할 수 없다고 자랑했습니다." PP 259.3

“이런 말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희망을 무너뜨렸습니다. 그 상황은 이집트인들이 묘사한 대로 보였습니다. 그들은 노예였으며, 잔인한 감독관들이 가할 수 있는 어떤 고통도 견뎌야 했습니다. 그들의 자녀들은 추격당하고 살해되었고, 그들의 삶 itself는 부담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하늘의 하나님을 경배하고 있었습니다. 만약 여호와께서 모든 신들 위에 계신다면, 분명히 그분은 그들을 우상 숭배자들에게 노예로 남겨두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충성스러운 이들은 이스라엘이 그분으로부터 떠났기 때문—이방 민족들과 결혼함으로써 우상 숭배에 빠졌기 때문—에 주님께서 그들을 노예로 만들도록 허락하셨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들은 형제들에게 확신에 차서 말씀하셨습니다. “그분은 곧 억압자의 멍에를 깨뜨리실 것입니다.” PP 260.1


“As Moses listened to these reproaches he was greatly distressed.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had been much increased. All over the land a cry of despair went up from old and young, and all united in charging upon him the disastrous change in their condition. In bitterness of soul he went before God, with the cry, “Lord, wherefore hast Thou so evil entreated this people? why is it that Thou hast sent me? For since I came to Pharaoh to speak in Thy name, he hath done evil to this people; neither hast Thou delivered Thy people at all.” The answer was, “Now shalt thou see what I will do to Pharaoh: for with a strong hand shall he let them go, and with a strong hand shall he drive them out of his land.” Again he was pointed back to the covenant which God had made with the fathers, and was assured that it would be fulfilled.” PP 259.1

“The elders of Israel endeavored to sustain the sinking faith of their brethren by repeating the promises made to their fathers, and the prophetic words of Joseph before his death, foretelling their deliverance from Egypt. Some would listen and believe. Others, looking at the circumstances that surrounded them, refused to hope. The Egyptians, being informed of what was reported among their bondmen, derided their expectations and scornfully denied the power of their God. They pointed to their situation as a nation of slaves, and tauntingly said, “If your God is just and merciful, and possesses power above that of the Egyptian gods, why does He not make you a free people?” They called attention to their own condition. They worshiped deities termed by the Israelites false gods, yet they were a rich and powerful nation. They declared that their gods had blessed them with prosperity, and had given them the Israelites as servants, and they gloried in their power to oppress and destroy the worshipers of Jehovah. Pharaoh himself boasted that the God of the Hebrews could not deliver them from his hand. PP 259.3

“Words like these destroyed the hopes of many of the Israelites. The case appeared to them very much as the Egyptians had represented. It was true that they were slaves, and must endure whatever their cruel taskmasters might choose to inflict. Their children had been hunted and slain, and their own lives were a burden. Yet they were worshiping the God of heaven. If Jehovah were indeed above all gods, surely He would not thus leave them in bondage to idolaters. But those who were true to God understood that it was because of Israel's departure from Him—because of their disposition to marry with heathen nations, thus being led into idolatry—that the Lord had permitted them to become bondmen; and they confidently assured their brethren that He would soon break the yoke of the oppressor.” PP 260.1

7월 16일 수요일

포경되지 않은 입술


출애굽기 6장 9절부터 13절을 읽어보세요.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으며, 이 이야기에서 우리 삶에서 실망과 고난의 시기에 대해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Read Exodus 6:9–13. What happened next, and what lessons can we take from this story about times of disappointment and struggle in our lives?

  “주님은 모세에게 다시 백성들에게 가서 구원의 약속을 반복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신의 은총에 대한 새로운 확신을 담아 말입니다. 모세는 명령대로 갔지만, 그들은 듣지 않았습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그들은 듣지 않았으니... 영혼의 고통과 잔혹한 노예 생활 때문이었습니다.' 다시 하나님의 메시지가 모세에게 왔습니다. ‘가서 이집트 왕 파라오에게 말하라. 그가 이스라엘 자손을 그의 땅에서 나가게 하라.’ 실망한 모세는 대답했습니다. ‘보라, 이스라엘 자손들이 나를 듣지 않았으니, 파라오가 어찌 나를 듣겠는가?’ 그는 아론을 데리고 파라오 앞에 나아가 다시 요구하라고 명령받았습니다. '그가 이스라엘 자손을 그의 땅에서 나가게 하라." PP 260.3

“그는 왕이 하나님이 이집트에 심판을 내리시고 그의 권능의 분명한 나타남으로 이스라엘을 이끌어내실 때까지 굴복하지 않을 것임을 알았습니다. 각 재앙이 내리기 전에 모세는 그 재앙의 성질과 효과를 설명해야 했으며, 왕이 원한다면 그 재앙에서 자신을 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거부된 각 벌은 더 심한 벌로 이어질 것이며, 그의 교만한 마음이 겸손해질 때까지 계속될 것이며, 그는 하늘과 땅의 창조주를 참되고 살아계신 하나님으로 인정하게 될 것입니다. 주님은 이집트인들이 그들의 강력한 자들의 지혜가 얼마나 헛된 것인지, 그들의 신들의 힘이 여호와의 명령에 맞서면 얼마나 약한 것인지 보게 하실 것입니다. 주님은 이집트 백성들의 우상 숭배를 벌하시고, 그들이 무의미한 신들로부터 받은 축복을 자랑하는 것을 침묵시키실 것입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실 것이며, 다른 민족들이 그의 권능을 듣고 그의 위대한 행적에 떨게 하실 것이며, 그의 백성이 우상 숭배에서 돌이켜 그에게 순수한 예배를 드리게 하실 것입니다.” PP 263.1

오늘날 일이 자신의 뜻과 방식에 반해 진행될 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악마에게 책임을 돌립니다. 오직 일이 자신의 마음에 들 때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발람도 발락에게 가는 길이 열리자 기뻐했지만, 주님의 천사가 그가 가는 길을 막자 발람은 개처럼 미쳐서 나귀를 때렸습니다.

아니요, 당신 자신 외에는 아무도 하나님의 계획을 무너뜨릴 수 없습니다. 친구든 적이든, 짐승이든 왕이든, 당신이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있다면 그들은 모두 의도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당신의 유익을 위해 일하게 될 것입니다. 하늘은 얼마나 풍성한 자원이지요! 그런데 누가 그것을 알까요!

이제 기억하라. 네 앞을 가로막는 것이 무엇이든, 홍해든 요르단 강이든, 산이든 사막이든, 그것은 네 발판이 될 것이다.


“The Lord directed Moses to go again to the people and repeat the promise of deliverance, with a fresh assurance of divine favor. He went as he was commanded; but they would not listen. Says the Scripture, “They hearkened not ... for anguish of spirit, and for cruel bondage.” Again the divine message came to Moses, “Go in, speak unto Pharaoh king of Egypt, that he let the children of Israel go out of his land.” In discouragement he replied, “Behold, the children of Israel have not hearkened unto me; how then shall Pharaoh hear me?” He was told to take Aaron with him and go before Pharaoh, and again demand “that he send the children of Israel out of his land. PP 260.3

“He was informed that the monarch would not yield until God should visit judgments upon Egypt and bring out Israel by the signal manifestation of His power. Before the infliction of each plague, Moses was to describe its nature and effects, that the king might save himself from it if he chose. Every punishment rejected would be followed by one more severe, until his proud heart would be humbled, and he would acknowledge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as the true and living God. The Lord would give the Egyptians an opportunity to see how vain was the wisdom of their mighty men, how feeble the power of their gods, when opposed to the commands of Jehovah. He would punish the people of Egypt for their idolatry and silence their boasting of the blessings received from their senseless deities. God would glorify His own name, that other nations might hear of His power and tremble at His mighty acts, and that His people might be led to turn from their idolatry and render Him pure worship.” PP 263.1

When things go contrary to one’s will and way today, most Christians give credit to the Devil. Only when things go according to their liking do they give credit to God! Balaam, too, was happy when the way opened for him to go to Balak, but when the angel of the Lord blocked the road he was traveling on, then Balaam, became as mad as a dog and smote the ass.

No, nothing but you yourself can defeat God’s plans for you. Be it your friends or your enemies, be it beasts or kings, you will find them all unwittingly or wittingly working for your good rather than for your harm if you are doing God’s bidding. What a rich resource Heaven is! And who knows it!

Remember now, that whatever may stand in your way, be it the Red Sea or the River Jordan, be it a mountain or be it a desert, it shall become your very stepping stone.

7월 17일 목요일

하나님이 파라오에게 하신 것처럼


출애굽기 6:28–7:7을 읽으십시오. 주님은 모세의 반대에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Read Exodus 6:28–7:7. How does the Lord deal with Moses’ objection?

  모세는 다소 실망스러워했습니다. 절망 속에서 그는 주님께 물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 곧 주님의 할례 받은 백성이 내 말을 듣지 않는다면, 할례를 받지 않은 우상 숭배자 파라오가 어찌 내 말을 들을 수 있겠습니까?”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보라, 내가 너를 파라오에게 하나님으로 삼았으니, 네 형 아론이 네 선지자가 될 것이다. 네가 내가 명령하는 모든 것을 말할 것이요, 네 형 아론이 파라오에게 말하여 그가 이스라엘 자손을 그의 땅에서 내보내게 할 것이다. 내가 파라오의 마음을 강퍅하게 하고, 이집트 땅에서 내 표적과 기적을 많이 보이리라. 그러나 파라오는 너희 말을 듣지 아니하리니, 이는 내가 이집트에 손을 얹고, 내 군대와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을 이집트 땅에서 큰 심판으로 이끌어 내기 위함이니라. 이집트 사람들이 내가 주인 줄 알리라. 내가 이집트에 손을 펴서 이스라엘 자손을 그들 가운데서 이끌어 내리라. 모세와 아론은 주께서 그들에게 명령하신 대로 행하였으니, 그들이 그대로

“주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네가 파라오 앞에서 보여줄 표적과 기적들은 그의 마음을 굳게 만들 것이니, 그가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그의 표적을 더 많이 보이실 것이며, 왕이 거부한 모든 벌은 다음 벌을 더 가까이하고 더 심하게 만들 것이니, 결국 왕의 교만한 마음이 겸손해질 때까지, 그가 하늘과 땅의 창조주를 살아계시고 전능하신 하나님으로 인정하게 될 것이다.’” 3SG 204.1

“다시 모세와 아론은 이집트 왕의 화려한 궁전으로 들어갔습니다. 거기서 높은 기둥과 빛나는 장식품, 이교도의 신들을 그린 화려한 그림과 조각상들 사이에서, 당시 존재하던 가장 강력한 왕국의 군주 앞에서, 노예로 살던 민족의 두 대표자가 하나님으로부터 이스라엘의 해방을 명령받은 말씀을 반복했습니다.” PP 263.2


“Moses was somewhat discouraged. In his despondency he inquired of the Lord, If the children of Israel, thine own circumcised people, will not hearken unto me, how then shall Pharaoh, who is uncircumcised, and an idolater, hear me? “And the Lord said unto Moses, See, I have made thee a God to Pharaoh, and Aaron thy brother shall be thy prophet. Thou shalt speak all that I command thee, and Aaron thy brother shall speak unto Pharaoh, that he send the children of Israel out of his land. And I will harden Pharaoh's heart, and multiply my signs and my wonders in the land of Egypt. But Pharaoh shall not hearken unto you, that I may lay my hand upon Egypt, and bring forth mine armies, and my people, the children of Israel, out of the land of Egypt by great judgments. And the Egyptians shall know that I am the Lord, when I stretch forth mine hand upon Egypt, and bring out the children of Israel from among them. And Moses and Aaron did as the Lord commanded them, so did they.” 3SG 203.2

“The Lord told Moses that the signs and wonders which he should show before Pharaoh would harden his heart, because he would not receive them, and God would multiply his signs. Every punishment which the king rejected would bring the next chastisement more close and severe, until the proud heart of the king would be humbled, and he should acknowledge the Maker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as the living and all-powerful God.” 3SG 204.1

“Again Moses and Aaron entered the lordly halls of the king of Egypt. There, surrounded by lofty columns and glittering adornments, by the rich paintings and sculptured images of heathen gods, before the monarch of the most powerful kingdom then in existence, stood the two representatives of the enslaved race, to repeat the command from God for Israel's release.” PP 263.2

7월 18일 금요일

추가 생각

“그가 내게 이르시되, 사람아, 내가 너를 이스라엘 자손에게, 곧 내게 반역한 반역의 백성에게 보내노라. 그들과 그들의 조상들은 오늘날까지 내게 범죄하였느니라. 그들은 무례한 자식들이요, 마음이 완고한 자들이니라. 내가 너를 그들에게 보내노니, 너는 그들에게 이르라. 주 하나님이 이르시되. 그들이 듣든지 듣지 않든지 (그들은 반역하는 집안이니라) 그래도 그들 가운데 선지자가 있었음을 알게 되리라. 사람의 아들아, 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의 말을 두려워하지 말라. 가시와 가시덤불이 너와 함께 있고, 너는 전갈들 사이에서 살지라도, 그들의 말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의 모습을 보고 놀라지 말라. 그들은 반역하는 집안이기 때문이다. 너는 내 말을 그들에게 전하라. 그들이 듣든지 듣지 않든지, 그들은 가장 반역적인 자들이기 때문이다.” KJV — 에스겔 2:2-7

“그가 내게 이르시되, 사람아, 가서 이스라엘 집으로 가서 내 말을 그들에게 전하라. 네가 낯선 말과 어려운 언어를 사용하는 백성에게 보내심을 받은 것이 아니요, 이스라엘 집에게 보내심을 받은 것이니라. 낯선 말과 어려운 언어를 사용하는 많은 백성에게 보내심을 받은 것이 아니니, 그들의 말을 네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니라. 만약 내가 너를 그들에게 보냈더라면, 그들은 네 말을 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집은 네 말을 듣지 않을 것이니, 이는 그들이 내 말을 듣지 않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집은 모두 교만하고 마음이 굳은 자들이기 때문이다.” KJV — 에스겔 3:4-7

계시록 3:14-18의 라오디게아인들에 대한 심판과 에스겔 2:1-7 및 3:4-7의 “이스라엘 집”에 대한 심판은 동일하므로, 각각은 서로의 보완 관계에 있다. 하나는 다른 하나가 예언한 것의 계시이다.


“And he said unto me, Son of man, I send thee to the children of Israel, to a rebellious nation that hath rebelled against me: they and their fathers have transgressed against me, even unto this very day. For they are impudent children and stiffhearted. I do send thee unto them; and thou shalt say unto them, Thus saith the Lord GOD. And they, whether they will hear, or whether they will forbear, (for they are a rebellious house,) yet shall know that there hath been a prophet among them. And thou, son of man, be not afraid of them, neither be afraid of their words, though briers and thorns be with thee, and thou dost dwell among scorpions: be not afraid of their words, nor be dismayed at their looks, though they be a rebellious house. And thou shalt speak my words unto them, whether they will hear, or whether they will forbear: for they are most rebellious.” KJV — Ezekiel 2:2-7

“And he said unto me, Son of man, go, get thee unto the house of Israel, and speak with my words unto them. For thou art not sent to a people of a strange speech and of an hard language, but to the house of Israel; Not to many people of a strange speech and of an hard language, whose words thou canst not understand. Surely, had I sent thee to them, they would have hearkened unto thee. But the house of Israel will not hearken unto thee; for they will not hearken unto me: for all the house of Israel are impudent and hardhearted.” KJV — Ezekiel 3:4-7

The condemnation of Rev. 3:14-18 against the Laodiceans, and the condemnation of Ezek. 2:1-7 and 3:4-7 against “the house of Israel,” being the same, each therefore is the complement of the other: the one being the Revelation of that of which the other is the prophe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