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제12강, 3분기, 2025년 9월 13일~19일

img rest_in_christ
이 레슨 공유하기
sharethis sharing button
copy sharing button
email sharing button
whatsapp sharing button
facebook sharing button
twitter sharing button
telegram sharing button
messenger sharing button
line sharing button
wechat sharing button
vk sharing button
tencentqq sharing button
weibo sharing button
kakao sharing button
Download PDF

9월 13일 안식일 오후

기억할 말씀:

“여호와께서 그 앞에서 지나가시며 선포하시되 여호와 여호와 하나님은 자비롭고 은혜로우시며 오래 참으시고 인자와 진리가 풍성하시며 천 대에 이르기까지 은혜를 베푸시며 불의와 범죄와 죄를 사하시되 결코 죄 있는 자를 무죄로 여기지 아니하시며 아버지의 불의를 자녀에게, 자녀의 자녀에게, 삼사 대에 이르도록 벌하시리라 하셨느니라.” KJV — 출애굽기 34:6, 7

Memory Text: 
“And the LORD passed by before him, and proclaimed, The LORD, The LORD God, merciful and gracious, longsuffering, and abundant in goodness and truth, Keeping mercy for thousands, forgiving iniquity and transgression and sin, and that will by no means clear the guilty; visiting the iniquity of the fathers upon the children, and upon the children’s children, unto the third and to the fourth generation.” KJV — Exodus 34:6, 7


  “모세는 고독 속에서 왕실의 영예와 이집트에서 기대되던 왕위를 버리고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과 운명을 함께하기로 한 이후 겪어온 고난의 삶을 되돌아보았다. 그는 제트로의 양 떼와 함께 사막에서 보낸 긴 세월, 불타는 떨기나무 속 천사의 나타나심, 그리고 이스라엘을 구원하라는 부르심을 떠올렸다. 다시 한번 그는 선택받은 백성을 위해 나타난 하나님의 위대한 기적들과 그들이 방황하고 반역하던 세월 동안 베푸신 오래 참으시는 자비를 보았다. 이집트를 떠난 거대한 군대 중 약속의 땅에 들어갈 만큼 충실한 성인은 단 두 명뿐이었다. 그의 시련과 희생으로 가득한 삶은 거의 헛된 것처럼 보였다.” EP 335.2

“그러나 그는 자신의 사명과 일이 하나님께서 맡기신 것임을 알았다. 처음에 이스라엘을 노예 생활에서 이끌어내라는 부르심을 받았을 때, 그는 그 책임을 회피했지만 그 짐을 버리지는 않았다. 주님께서 그를 대신하여 반역하는 이스라엘을 멸망시키겠다고 제안하셨을 때조차 모세는 동의할 수 없었다. 그는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의 표징을 누렸으며, 광야에서의 여정 동안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교제하며 풍성한 경험을 쌓았다. 그는 잠시 동안 죄의 쾌락을 누리는 것보다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을 겪기로 선택한 것이 현명한 결정이었다고 느꼈다.” EP 335.3


  “In solitude Moses reviewed his life of hardships since he turned from courtly honors and from a prospective kingdom in Egypt, to cast his lot with God's chosen people. He called to mind those long years in the desert with the flocks of Jethro, the appearance of the Angel in the burning bush, and his call to deliver Israel. Again he beheld the mighty miracles of God's power displayed in behalf of the chosen people, and His long-suffering mercy during the years of their wandering and rebellion. Only two of all the adults in the vast army that left Egypt had been found so faithful that they could enter the Promised Land. His life of trial and sacrifice seemed to have been almost in vain.” EP 335.2

“Yet he knew that his mission and work were of God's appointing. When first called to lead Israel from bondage, he shrank from the responsibility, but he had not cast aside the burden. Even when the Lord had proposed to release him and destroy rebellious Israel, Moses could not consent. He had enjoyed special tokens of God's favor; he had obtained a rich experience during the sojourn in the wilderness in the communion of His love. He felt he had made a wise decision in choosing to suffer affliction with the people of God rather than to enjoy the pleasures of sin for a season.” EP 335.3

9월 14일 일요일

성막의 만남


출애굽기 33:7-11을 읽으십시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성막을 지으라고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Read Exodus 33:7–11. Why did God ask Moses to build the tent of meeting?

  “모세가 진영 문에 서서 백성에게 외쳤다. ‘여호와 편에 서는 자는 내게로 오라.’ 배교에 가담하지 않은 자들은 모세의 오른편에, 죄를 지었으나 회개한 자들은 왼쪽에 서도록 했다. 명령은 순종되었다. 레위 지파는 우상 숭배에 전혀 가담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지파들 중에서도 죄를 지었으나 이제 회개를 표하는 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 송아지 제작을 선동한 혼합 무리인 큰 무리가 완고하게 반역을 고집했다. 모세는 이제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상 숭배에서 자신을 깨끗이 한 오른쪽에 선 자들에게 칼을 차고 반역을 고집하는 자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했다. “그 날 백성 중에서 삼천 명 가량이 죽임을 당하였더라.” 지위나 친족, 우정을 가리지 않고 악의 선동자들은 제거되었으나, 회개하고 자신을 낮춘 자들은 모두 살려 두었다.” PP 324.1

“깊은 슬픔 속에 백성들은 죽은 자들을 장사 지냈다. 삼천 명이 칼에 쓰러졌고, 곧이어 진영에 전염병이 돌았다. 그리고 이제 신성한 임재가 더 이상 그들의 여정에 동행하지 않으리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여호와께서 선언하셨다. '내가 너희 가운데 올라가지 않으리니, 너희는 목이 곧은 백성이니라. 길에서 너희를 멸망시키지 않으려 함이라.' 그리고 명령이 내려졌다. ‘너희 장신구를 벗으라. 내가 너희에게 어떻게 할지 알리라.’ 이제 진영 전체에 애도가 퍼졌다. 회개와 겸손 가운데 ‘이스라엘 자손들이 호렙 산에서 장신구를 벗었다.’” PP 327.1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 임시 예배 장소로 사용되던 장막이 ‘진영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옮겨졌다.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서 당신의 임재를 거두셨다는 또 하나의 증거였다. 하나님은 모세에게는 자신을 드러내시지만, 그런 백성에게는 그러지 않으셨다. 이 책망은 깊이 느껴졌고, 양심이 찔린 무리들에게는 더 큰 재앙의 전조로 보였다. 주님께서 그들을 완전히 멸망시키기 위해 모세를 진영에서 분리시키신 것이 아니었는가? 그러나 그들에게 희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장막은 진영 밖에 세워졌으나, 모세는 그것을 ‘회막’이라 불렀다. 진정으로 회개하고 주님께 돌아가고자 하는 모든 자는 그곳으로 가서 죄를 고백하고 자비를 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들이 각자의 장막으로 돌아가면 모세는 회막에 들어갔다. 백성들은 모세가 그들을 위해 드리는 중보 기도가 받아들여졌다는 어떤 징후라도 보려고 고통스러운 관심으로 지켜보았다. 하나님께서 그와 만나주신다면, 그들은 완전히 멸망당하지 않을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구름 기둥이 내려와 성막 입구에 서자, 백성들은 기쁨의 눈물을 흘리며 ‘일어나 각자 자기 장막 문에서 경배하였다.’” PP 327.2


“Standing in the gate of the camp, Moses called to the people, “Who is on the Lord's side? let him come unto me.” Those who had not joined in the apostasy were to take their position at the right of Moses; those who were guilty but repentant, at the left. The command was obeyed. It was found that the tribe of Levi had taken no part in the idolatrous worship. From among other tribes there were great numbers who, although they had sinned, now signified their repentance. But a large company, mostly of the mixed multitude that instigated the making of the calf, stubbornly persisted in their rebellion. In the name of “the Lord God of Israel,” Moses now commanded those upon his right hand, who had kept themselves clear of idolatry, to gird on their swords and slay all who persisted in rebellion. “And there fell of the people that day about three thousand men.” Without regard to position, kindred, or friendship, the ringleaders in wickedness were cut off; but all who repented and humbled themselves were spared.” PP 324.1

“In deep sadness the people had buried their dead. Three thousand had fallen by the sword; a plague had soon after broken out in the encampment; and now the message came to them that the divine Presence would no longer accompany them in their journeyings. Jehovah had declared, “I will not go up in the midst of thee; for thou art a stiffnecked people: lest I consume thee in the way.” And the command was given, “Put off thy ornaments from thee, that I may know what to do unto thee.” Now there was mourning throughout the encampment. In penitence and humiliation “the children of Israel stripped themselves of their ornaments by the mount Horeb.” PP 327.1

“By the divine direction the tent that had served as a temporary place of worship was removed “afar off from the camp.” This was still further evidence that God had withdrawn His presence from them. He would reveal Himself to Moses, but not to such a people. The rebuke was keenly felt, and to the conscience-smitten multitudes it seemed a foreboding of greater calamity. Had not the Lord separated Moses from the camp that He might utterly destroy them? But they were not left without hope. The tent was pitched without the encampment, but Moses called it “the tabernacle of the congregation.” All who were truly penitent, and desired to return to the Lord, were directed to repair thither to confess their sins and seek His mercy. When they returned to their tents Moses entered the tabernacle. With agonizing interest the people watched for some token that his intercessions in their behalf were accepted. If God should condescend to meet with him, they might hope that they were not to be utterly consumed. When the cloudy pillar descended, and stood at the entrance of the tabernacle, the people wept for joy, and they “rose up and worshiped, every man in his tent door.” PP 327.2

9월 15일 월요일

주님을 알기 위하여


출애굽기 33:12-17을 읽으십시오. 모세가 주님께 무엇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습니까? 왜 그는 그들을 인도하시기 위해 하나님의 임재를 요구했습니까?

Read Exodus 33:12–17. What did Moses ask the Lord to teach him? Why did he demand God’s presence to guide them?

  “모세는 자신이 돌보아야 할 백성의 완고함과 맹목성을 잘 알고 있었으며, 자신이 맞서야 할 어려움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백성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하나님의 뜻을 더 분명히 계시해 주시고 그분의 임재를 확증해 달라고 간구하였다: '보소서, 주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이 백성을 데리고 올라가라 하시되 나와 함께 보낼 자가 누구인지는 내게 알려 주지 아니하셨나이다. 그러나 주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이름을 알고 있으며 네가 내 눈에 은혜를 얻었노라’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이제 내가 주께 간구하오니, 내가 주 눈에 은혜를 얻었사오니, 이제 주의 길을 내게 보이사 내가 주를 알고 주의 눈에 은혜를 얻게 하소서. 이 백성이 주의 백성인 줄을 생각하소서.’” PP 327.3

이제 내가 주님 앞에서 은혜를 입었사오니, 주님의 길을 내게 보여 주사 내가 주님을 알게 하시고, 주님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소서. 이 백성이 주님의 백성인 것을 생각하소서.” PP 327.3

“대답은 이러하니라, ‘내 임재가 너와 함께하리니 내가 너에게 안식을 주리라.’ 그러나 모세는 아직도 만족하지 못하였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완고함과 회개하지 않음에 내버려 두신다면 닥칠 끔찍한 결과를 생각하니 그의 영혼이 짓눌렸다. 그는 자신의 이익이 형제들의 이익과 분리되는 것을 견딜 수 없었으며, 하나님의 은혜가 그의 백성에게 회복되고 그의 임재의 표징이 그들의 여정을 계속 인도해 주시기를 기도했다: '주님의 임재가 나와 함께하지 않으신다면, 우리를 여기서 데려가지 마소서. 내가 주의 백성과 함께 주의 눈에 은혜를 입은 줄을 이 땅에서 어떻게 알리이까? 주께서 우리와 함께 가시는 것이 아니겠나이까? 그리하면 나와 주의 백성이 땅 위의 모든 백성 중에서 분리되리이다.” PP 328.1


“Moses knew well the perversity and blindness of those who were placed under his care; he knew the difficulties with which he must contend. But he had learned that in order to prevail with the people, he must have help from God. He pleaded for a clearer revelation of God's will and for an assurance of His presence: “See, Thou sayest unto me, Bring up this people: and Thou hast not let me know whom Thou wilt send with me. Yet Thou hast said, I know thee by name, and thou hast also found grace in My sight. Now therefore, I pray Thee, if I have found grace in Thy sight, show me now Thy way, that I may know Thee, that I may find grace in Thy sight: and consider that this nation is Thy people.” PP 327.3

“The answer was, “My presence shall go with thee, and I will give thee rest.” But Moses was not yet satisfied. There pressed upon his soul a sense of the terrible results should God leave Israel to hardness and impenitence. He could not endure that his interests should be separated from those of his brethren, and he prayed that the favor of God might be restored to His people, and that the token of His presence might continue to direct their journeyings: ‘If Thy presence go not with me, carry us not up hence. For wherein shall it be known here that I and Thy people have found grace in Thy sight? is it not in that Thou goest with us? So shall we be separated, I and Thy people, from all the people that are upon the face of the earth.’” PP 328.1

9월 16일 화요일

“주님, 당신의 영광을 보여 주소서.”


출애굽기 33:18-23을 읽으십시오. 모세가 하나님의 영광을 보게 해 달라고 간구했을 때, 하나님은 어떻게 응답하셨습니까?

Read Exodus 33:18–23. How did God answer Moses’ request to see His glory?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네가 내 앞에서 은혜를 입었으니 내가 네가 말한 대로 이 일도 행하리라 내가 네 이름을 알고 있노라 하시니라” 선지자는 여전히 간구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모든 기도가 응답되었으나 그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더 큰 표적을 갈망하였다. 그는 이제 그 누구도 해본 적 없는 간구를 드렸다. “주여,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 PP 328.2

“하나님은 그의 요청을 건방진 것으로 꾸짖지 않으셨다. 오히려 은혜로운 말씀을 하셨으니, ‘내가 내 모든 선하심을 네 앞에 지나가게 하리라’ 하셨다. 이 육신의 상태에 있는 사람은 아무도 하나님의 가려지지 않은 영광을 보고 살 수 없다. 그러나 모세는 자신이 견딜 수 있는 만큼 신성한 영광을 보게 될 것이라고 확신받았다. 그는 다시 산 정상으로 부르심을 받았다. 그때 세상을 지으신 그 손, ‘산들을 옮기시되 그들이 알지 못하느니라’(욥기 9:5)는 그 손이 이 흙으로 지은 피조물, 이 믿음의 위대한 사람을 바위 틈에 두셨다. 하나님의 영광과 그분의 모든 선하심이 그의 앞에서 지나가셨다.” PP 328.3

“이 경험—무엇보다도 신성한 임재가 그와 함께 하리라는 약속—은 모세에게 앞으로의 사역에서 성공할 것이라는 확신이 되었으며, 그는 이를 이집트의 모든 학문이나 정치가 또는 군사 지도자로서의 모든 성취보다도 무한히 더 큰 가치로 여겼다. 어떤 세상의 권세나 기술이나 학문도 하나님의 영원한 임재를 대신할 수 없다.” PP 328.4

“죄인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손에 떨어지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그러나 모세는 영원하신 분의 면전에서 홀로 서 있었으나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의 영혼이 창조주의 뜻과 조화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시편 기자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내 마음에 불의를 품으면 주께서 내 기도를 듣지 않으시리라.’ 시편 66:18'. 그러나 ‘여호와의 비밀은 그를 경외하는 자에게 있으며, 그들에게 그의 언약을 보이시리라.’ 시편 25:14.” PP 329.1


“And the Lord said, “I will do this thing also that thou hast spoken: for thou hast found grace in My sight, and I know thee by name.” Still the prophet did not cease pleading. Every prayer had been answered, but he thirsted for greater tokens of God's favor. He now made a request that no human being had ever made before: “I beseech Thee, show me Thy glory.” PP 328.2

“God did not rebuke his request as presumptuous; but the gracious words were spoken, “I will make all My goodness pass before thee.” The unveiled glory of God, no man in this mortal state can look upon and live; but Moses was assured that he should behold as much of the divine glory as he could endure. Again he was summoned to the mountain summit; then the hand that made the world, that hand that “removeth the mountains, and they know not” (Job 9:5), took this creature of the dust, this mighty man of faith, and placed him in a cleft of the rock, while the glory of God and all His goodness passed before him. PP 328.3

“This experience—above all else the promise that the divine Presence would attend him—was to Moses an assurance of success in the work before him; and he counted it of infinitely greater worth than all the learning of Egypt or all his attainments as a statesman or a military leader. No earthly power or skill or learning can supply the place of God's abiding presence. PP 328.4

“To the transgressor it is a fearful thing to fall into the hands of the living God; but Moses stood alone in the presence of the Eternal One, and he was not afraid; for his soul was in harmony with the will of his Maker. Says the psalmist, “If I regard iniquity in my heart, the Lord will not hear me.” Psalm 66:18. But “the secret of the Lord is with them that fear Him; and He will show them His covenant.” Psalm 25:14. PP 329.1

9월 17일 수요일

하나님의 자기 계시


출애굽기 34:1-28을 읽으십시오. 하나님은 모세에게 어떻게 그분의 영광을 계시하셨습니까?

Read Exodus 34:29–35. What was the cause of Moses’ radiant face?

  “신께서 스스로 선언하시기를, ‘여호와, 여호와 하나님은 자비로우시고 은혜로우시며, 오래 참으시고, 선하심과 진리로 충만하시며, 수천 대에 이르기까지 은혜를 베푸시고, 불의와 범법과 죄를 용서하시나, 결코 죄 있는 자를 무죄로 여기지 아니하시리라.’” PP 329.2

“모세는 급히 달려가 머리를 땅에 숙여 경배하였다. 다시 그는 하나님께 백성의 죄악을 용서하시고 그들을 당신의 기업으로 삼아 달라고 간구하였다. 그의 기도는 받아들여졌다. 주님께서는 은혜로이 이스라엘에게 다시 은혜를 베풀어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으며, 그들을 위하여 ‘온 땅과 모든 민족 가운데서도 없었던’ 놀라운 일들을 행하시겠다고 약속하셨다.” PP 329.3

모세는 사십 일 사십 야를 산에 머물렀으며, 이 모든 기간 동안 처음과 마찬가지로 기적적으로 생명을 유지하였다. 아무도 그와 함께 올라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으며, 그가 부재하는 동안 누구도 산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셨다.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그는 두 돌판을 준비하여 정상으로 가져갔고, 다시 ‘주님께서 그 돌판에 언약의 말씀, 곧 십계명을 기록하셨다.’ [부록, 주석 5 참조.]” PP 329.4


“During that long time spent in communion with God, the face of Moses had reflected the glory of the divine Presence; unknown to himself his face shone with a dazzling light when he descended from the mountain. Such a light illumined the countenance of Stephen when brought before his judges; “and all that sat in the council, looking steadfastly on him, saw his face as it had been the face of an angel.” Acts 6:15. Aaron as well as the people shrank away from Moses, and “they were afraid to come nigh him.” Seeing their confusion and terror, but ignorant of the cause, he urged them to come near. He held out to them the pledge of God's reconciliation, and assured them of His restored favor. They perceived in his voice nothing but love and entreaty, and at last one ventured to approach him. Too awed to speak, he silently pointed to the countenance of Moses, and then toward heaven. The great leader understood his meaning. In their conscious guilt, feeling themselves still under the divine displeasure, they could not endure the heavenly light, which, had they been obedient to God, would have filled them with joy. There is fear in guilt. The soul that is free from sin will not wish to hide from the light of heaven. PP 329.5

“Moses had much to communicate to them; and compassionating their fear, he put a veil upon his face, and continued to do so thereafter whenever he returned to the camp from communion with God. PP 330.1

“By this brightness God designed to impress upon Israel the sacred, exalted character of His law, and the glory of the gospel revealed through Christ. While Moses was in the mount, God presented to him, not only the tables of the law, but also the plan of salvation. He saw that the sacrifice of Christ was prefigured by all the types and symbols of the Jewish age; and it was the heavenly light streaming from Calvary, no less than the glory of the law of God, that shed such a radiance upon the face of Moses. That divine illumination symbolized the glory of the dispensation of which Moses was the visible mediator, a representative of the one true Intercessor.” PP 330.2

9월 18일 목요일

모세의 빛나는 얼굴


출애굽기 34:29-35을 읽으십시오. 모세의 얼굴이 빛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Read Exodus 34:29–35. What was the cause of Moses’ radiant face?

  “하나님과 교제하던 그 오랜 시간 동안 모세의 얼굴은 신성한 임재의 영광을 비추고 있었다. 산에서 내려올 때 그는 자신도 모르게 눈부신 빛으로 얼굴이 빛나고 있었다. 스데반이 재판관들 앞에 끌려갔을 때도 그런 빛이 그의 얼굴을 비췄다. ‘공회 앉은 모든 사람이 그를 뚫어지게 바라보니 그의 얼굴이 천사의 얼굴 같더라.’(사도행전 6:15) 아론과 백성들은 모세에게서 물러섰고, ‘그에게 가까이 가기를 두려워하였다.’ 그들의 혼란과 공포를 보았으나 그 원인을 알지 못한 모세는 그들에게 가까이 오라고 권했다. 그는 하나님의 화해의 증거를 내밀며 그들에게 회복된 은혜를 확신시켰다. 그들은 그의 목소리에서 오직 사랑과 간청만을 느꼈고, 마침내 한 사람이 그를 향해 다가갔다. 말할 수 없을 만큼 경외감에 사로잡힌 그는 모세의 얼굴을 가리키고는 하늘을 향해 손짓했다. 위대한 지도자는 그의 뜻을 이해했다. 죄책감에 사로잡혀 여전히 신의 분노 아래 있다고 느낀 그들은 하늘의 빛을 견딜 수 없었다. 그들이 하나님께 순종했다면 그 빛은 그들을 기쁨으로 가득 채웠을 것이다. 죄에는 두려움이 따른다. 죄에서 자유로운 영혼은 하늘의 빛으로부터 숨고 싶어 하지 않는다." PP 329.5

“모세는 그들에게 전할 말이 많았으나, 그들의 두려움을 불쌍히 여겨 얼굴에 베일을 씌웠고, 이후로도 하나님과 교제하고 진영으로 돌아올 때마다 계속 그렇게 하였더라.” PP 330.1

“하나님께서는 이 광채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분의 율법의 거룩하고 높으신 성품과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복음의 영광을 각인시키려 하셨다. 모세가 산에 있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율법의 돌판뿐만 아니라 구원의 계획도 제시하셨다. 그는 유대 시대의 모든 유형과 상징이 그리스도의 희생을 예표하고 있음을 보았다. 모세의 얼굴에 비친 그 광채는 하나님의 율법의 영광 못지않게 갈보리에서 흘러나온 하늘의 빛이었다. 그 신성한 광채는 모세가 가시적인 중재자이자 유일한 참된 중보자의 대표자로서 섬긴 시대의 영광을 상징했다.” PP 330.2


“During that long time spent in communion with God, the face of Moses had reflected the glory of the divine Presence; unknown to himself his face shone with a dazzling light when he descended from the mountain. Such a light illumined the countenance of Stephen when brought before his judges; “and all that sat in the council, looking steadfastly on him, saw his face as it had been the face of an angel.” Acts 6:15. Aaron as well as the people shrank away from Moses, and “they were afraid to come nigh him.” Seeing their confusion and terror, but ignorant of the cause, he urged them to come near. He held out to them the pledge of God's reconciliation, and assured them of His restored favor. They perceived in his voice nothing but love and entreaty, and at last one ventured to approach him. Too awed to speak, he silently pointed to the countenance of Moses, and then toward heaven. The great leader understood his meaning. In their conscious guilt, feeling themselves still under the divine displeasure, they could not endure the heavenly light, which, had they been obedient to God, would have filled them with joy. There is fear in guilt. The soul that is free from sin will not wish to hide from the light of heaven. PP 329.5

“Moses had much to communicate to them; and compassionating their fear, he put a veil upon his face, and continued to do so thereafter whenever he returned to the camp from communion with God. PP 330.1

“By this brightness God designed to impress upon Israel the sacred, exalted character of His law, and the glory of the gospel revealed through Christ. While Moses was in the mount, God presented to him, not only the tables of the law, but also the plan of salvation. He saw that the sacrifice of Christ was prefigured by all the types and symbols of the Jewish age; and it was the heavenly light streaming from Calvary, no less than the glory of the law of God, that shed such a radiance upon the face of Moses. That divine illumination symbolized the glory of the dispensation of which Moses was the visible mediator, a representative of the one true Intercessor.” PP 330.2

고린도후서 3장 18절을 읽어보십시오. 예수님께서 어떻게 여러분을 점차 그분의 형상으로 변화시키실 수 있습니까?

Read 2 Corinthians 3:18. How can Jesus gradually transform you into His image?

  “제자들은 주님께서 승천하시는 것을 목격했을 뿐만 아니라, 천사들의 증언을 통해 그분이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보좌에 앉으셨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자들이 주님에 대해 마지막으로 간직하게 될 기억은 동정하는 친구이자 영광스러운 구속주로서의 모습이었습니다. 모세는 율법의 영광이 비추는 자신의 얼굴을 가렸고, 그리스도의 승천의 영광도 인간의 시야에서 가려졌습니다. 하늘의 호위대의 광채와 그를 환영하기 위해 열린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문은 인간의 눈으로 분별할 수 없었습니다.” 3SP 254.2

“만일 그리스도의 천국으로 가는 길이 그 형언할 수 없는 영광 그대로 제자들에게 드러났더라면, 그들은 그 광경을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 만일 그들이 무수한 천사들을 목격하고, 영원한 문이 열리면서 하늘 성벽에서 터져 나오는 승리의 함성을 들었다면, 그 영광과 시련의 세상에서 살아가는 자신들의 삶 사이의 대비가 너무나 컸을 것이다. 그들은 지상의 삶의 짐을 다시 짊어지고 구세주가 맡긴 사명을 용기와 신실함으로 수행할 준비를 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들에게 보내진 위로자, 성령조차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을 것이며, 필요하다면 모욕과 경멸, 투옥, 심지어 죽음까지도 견딜 수 있도록 그들의 마음을 충분히 강하게 하지 못했을 것이다.” 3SP 255.1


“The disciples not only saw the Lord ascend, but they had the testimony of the angels that he had gone to occupy his Father's throne in Heaven. The last remembrance that the disciples were to have of their Lord was as the sympathizing Friend, the glorified Redeemer. Moses veiled his face to hide the glory of the law which was reflected upon it, and the glory of Christ's ascension was veiled from human sight. The brightness of the heavenly escort, and the opening of the glorious gates of God to welcome him, were not to be discerned by mortal eyes. 3SP 254.2

“Had the track of Christ to Heaven been revealed to the disciples in all its inexpressible glory, they could not have endured the sight. Had they beheld the myriads of angels, and heard the bursts of triumph from the battlements of Heaven, as the everlasting doors were lifted up, the contrast between that glory and their own lives in a world of trial, would have been so great that they would hardly have been able to again take up the burden of their earthly lives, prepared to execute with courage and faithfulness the commission given them by the Saviour. Even the Comforter, the Holy Ghost which was sent to them, would not have been properly appreciated, nor would it have strengthened their hearts sufficiently to bear reproach, contumely, imprisonment, and death if need be.” 3SP 255.1

9월 19일 금요일

더 깊은 묵상

  “모세의 얼굴에 비친 영광은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백성이 받을 복을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가 하나님과 교제할수록, 그분의 요구 사항을 더 분명히 알수록, 우리는 더욱 온전히 신성한 형상을 닮아가며, 더 쉽게 신성한 본성에 참여하게 됨을 증거합니다.” PP 330.3

“모세는 그리스도의 모형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중보자가 백성이 그 영광을 바라볼 수 없었기에 얼굴을 가렸듯이, 신성한 중보자이신 그리스도께서도 지상에 오실 때 인성으로 신성을 가리셨습니다. 하늘의 광채로 옷입고 오셨더라면, 죄악된 상태의 사람들에게 다가가실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분의 임재의 영광을 견딜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분은 스스로 낮추사 ‘죄 있는 육체의 모양’이 되셨으니(로마서 8:3), 타락한 인류를 구원하시고 일으키시기 위함이었다.” PP 330.4


“The glory reflected in the countenance of Moses illustrates the blessings to be received by God's commandment-keeping people through the mediation of Christ. It testifies that the closer our communion with God, and the clearer our knowledge of His requirements, the more fully shall we be conformed to the divine image, and the more readily do we become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PP 330.3

“Moses was a type of Christ. As Israel's intercessor veiled his countenance, because the people could not endure to look upon its glory, so Christ, the divine Mediator, veiled His divinity with humanity when He came to earth. Had He come clothed with the brightness of heaven, He could not have found access to men in their sinful state. They could not have endured the glory of His presence. Therefore He humbled Himself, and was made “in the likeness of sinful flesh” (Romans 8:3), that He might reach the fallen race, and lift them up.” PP 330.4